산업 산업일반

[김우중 前회장 귀국] 재계 '조심스런' 동정론

"무턱대고 옹호하다 반기업정서 덧날라" 입장표명 자제<br>"법에 따라 공정하게" 원칙론도…파장 조기수습 기대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의 귀국을 바라보는 재계의 시각은 일단 ‘동정론’이 우세한 편이다. 강신호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은 이 같은 재계의 정서를 대표해 최근 사견을 전제로 “잘못한 측면도 있지만 경제발전에 미친 영향 등을 생각하면 공로도 고려해야 한다”며 김 전 회장에 대한 관대한 처리를 기대했다. 그러나 전경련 등 재계단체들은 범법자인 김 전 회장을 무턱대고 옹호했다가 자칫 반기업 정서를 증폭시킬 수도 있다는 점을 우려, 공개적인 입장표명을 자제하고 있다. 전경련의 한 관계자는 “강 회장의 언급대로 경제발전에 공헌한 부분이 많은 김 전 회장에게 너무 엄격한 잣대만을 적용해서는 안된다는 것이 재계의 전반적 기류”라며 “회장단이 오는 16일 열릴 예정인 정례회의와 만찬을 통해 이에 대한 대략적인 의견을 나누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현 상황에서 비공식적인 입장개진이라면 몰라도 전경련이나 회장단 차원의 사면건의 또는 입장발표는 어려울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삼성과 현대자동차ㆍLGㆍSK 등 주요 그룹들도 김 전 회장의 귀국 이후 벌어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A그룹의 한 임원은 “상당수 재벌총수와 최고경영자(CEO)들이 이미 과거 대선자금이나 분식회계 등과 관련해 사면을 받은 상태에서 김 전 회장의 사면논란이 다시 가열될 경우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부정적인 여론’이 다시 살아나지 않을까 솔직히 걱정된다”고 말했다. B그룹 관계자도 “김 전 회장에 대한 검찰수사 등의 과정에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이나 해석이 등장하게 되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조심스러운 동정론’과 달리 그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주문하는 목소리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한 대기업 임원은 “최근 김 전 회장에 대한 재평가 논란 과정에서 과거의 죄값을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법에 의해 엄격하고 냉정하게 평가받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다만 “경제ㆍ사회적 분위기가 어수선한 만큼 최대한 빨리 잘잘못을 공정하게 가려 그의 귀국으로 인한 파장을 하루빨리 매듭짓는 것이 재계 전체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