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총선 앞둔 정치권 "휴전은 없다"

민주 "인사청문회 보이콧" 시사<br>한나라 "허위폭로 책임 물을 것"

한나라당의 안상수(왼쪽) 원내대표와 이방호 사무총장이 22일 국회에서 열린 당 주요당직자 회의에 참석, 밀담을 나누고 있다. 최종욱기자

통합민주당의 손학규(오른쪽) 대표와 김효석 원내대표가 22일 국회에서 열린 당최고위원회의에 참석, 새 정부의 총리 인준과 국무위원 인사청문회 등 현안을 숙의하고 있다. 고영권기자

여야가 4월 총선을 앞두고 22일 서로 공세의 수위를 높이고 나섰다. 정부조직개편안 협상으로 국회 대치 정국이 일단 해소되는 듯했지만 여야가 새로운 쟁점들을 부각하면서 공방을 벌이고 있다. 통합민주당은 이날 한승수 국무총리 후보자와 장관 후보자들의 문제를 집중 거론했다. 새 정부 내각을 ‘부동산 부자’로 규정하는 한편 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보이콧’도 시사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전날 ‘이명박 특검’이 무혐의 결론을 내린 데 대해 민주당이 허위 폭로를 주도했다는 점을 문제 삼으며 법적ㆍ정치적 책임을 묻겠다고 주장했다. 특히 한나라당은 민주당에 특검 소요 비용으로 쓰인 예산의 반환을 요구하기도 했다. ◆ 민주, ‘땅 부자 내각’ 총공세=우상호 민주당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명박 정부 새 내각 후보자들의 평균 재산이 38억원이고 3~4건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분은 전국 40여 곳에 부동산을 갖고 있다”며 “땅 부자들로 구성된 내각이 펼치는 부동산 정책을 국민이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주장했다. 특히 김효석 원내대표는 이날 “남주홍 통일부 장관 내정자와 이춘호 여성부 장관 내정자에 대해 인사청문회 (개최) 자체를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주당은 27~28일 국회 상임위별로 이루어지는 장관 청문회에서 각종 의혹을 집중 공격한다는 방침이다. 이는 오는 4월9일 18대 총선 전략과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총선의 핵심 키워드가 ‘새 정부에 대한 국민적 선호도’란 점을 감안, 첫 내각의 도덕성을 문제 삼아 한나라당의 지지율에 타격을 가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주호영 당선자 대변인은 “단순히 재산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비난받을 이유는 없다”며 “정밀 검증 과정에서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맞섰다. 하지만 민주당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장남의 ‘외유 병역’, 부동산 투기 등 각종 의혹이 불거진 한승수 총리 후보자에 대해 “한 나라의 재상이 되기에는 너무 흠결이 많다”고 주장, 26일 국회 본회의에 상정될 임명동의안의 표결 전망조차 불투명하다. 김 원내대표는 “장관 청문회도 바지저고리식으로 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 한나라, “허위폭로 책임 묻겠다”=반면 한나라당은 BBK 주가조작 의혹 사건에 대한 특검의 무혐의 결정을 계기로 “허위 폭로의 배경을 끝까지 추적해 밝힐 것”이라고 벼르고 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2002년 대선 공작 관련해서는 배후 세력 조사 없이 유야무야 넘어갔지만 이번에는 끝까지 진상을 규명해 책임질 사람은 분명하게 책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최측근인 박형준 의원도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허위 사실을 유포한 데 대해 그냥 덮고 넘어갈 일은 아니다”며 “정치 보복 차원이 아니라 흑색 선전이 유포되지 않는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허위폭로 규탄대회를 여는 한편 민주당에 특검으로 소요된 국민 세금 9억6,000만원을 국민에게 먼저 돌려줘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나라당은 또 박계동 의원을 단장으로 하는 ‘김경준 기획 입국 진상조사단’을 다음주 중 미국에 보내기로 했다. 한나라당은 통합민주당의 ‘무차별 허위 폭로’를 이번 총선의 주요 이슈로 삼을 태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