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여성인력 활용의 필요성

갈수록 우리 사회에서 여성의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 최초의 여성 총리가 탄생했고 유력한 대선 후보에도 여성들이 거론되고 있다. 기업에서도 여성인력의 채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작년에 처음으로 50%를 넘어섰다. 이는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1995년에 76.4%를 기록한 후 오히려 줄어들어 현재 74%대에 머물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아직도 우리 사회에는 여성인력 활용에 많은 편견과 제한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OECD 국가들과 비교할 경우 우리나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대졸 여성 취업률은 아직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 또한 경제활동참가율을 연령대별로 비교해 보면 30대 중반에 경제활동참가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소위 ‘M’자형 경력곡선을 뚜렷하게 보이고 있다. 이는 출산과 육아부담에 의해 경력이 단절되는 현상이다. 이에 따라 여성인력이 경력과 역량을 축적해 전문가로서 또는 최고 관리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여성인력 활용의 필요성은 단순한 남녀평등 차원의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제기되는 것이 아니다.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ㆍ고령화 현상이 야기하는 인력부족과 그로 인한 경제성장 정체의 대안으로서 인식해야 할 주제이다. OECD에서도 저출산ㆍ고령화로 인한 문제와 관련한 정책적 이슈로 3P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잠재노동력의 활용(Population), 고용가능성 제고 (Participation), 생산성 향상 (Productivity)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슈의 해결방안으로 가장 먼저 제시된 것이 여성인력의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는 묘한 모순이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이 증가하면 출산율이 더욱 감소하지 않겠는가 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성의 경제활동을 제한함으로써 출산율을 증진하는 정책을 고려할 수는 없을 것이다. OECD 주요국들을 살펴보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은 국가가 오히려 출산율도 높은 경우가 많다. 문제는 여성의 경제활동에 가장 큰 기회비용으로 작용하는 육아의 부담이다. 정부와 기업에서 육아 관련 인프라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여성취업률과 출산율이 동시에 높아지는 선순환 구조로 갈 수 있을 것이다. 여성인력 활용의 효과는 단지 인력부족 해소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인재의 풀을 넓혀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고, 여성의 구매 의사결정력이 강화되어 가는 시대에 고객에 대한 이해 제고 측면에서도 여러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가계경제의 개선에도 기여한다는 점까지 고려한다면 우리경제의 성장기반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역류할 수 없는 흐름이라고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