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기대 모으는 산업계의 대학 평가

정부가 기업 인사 담당 임원 등 산업계 인사들로 구성된 ‘대학평가위원회’를 만들어 대학 순위를 매기기로 한 것은 대학교육이 산업계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데서 나온 고육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방침은 교육 및 경제부총리를 비롯해 각 경제단체장과 사립ㆍ국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 대학교육협회 회장 등이 참석한 산학관 간담회에서 결정된 것이라는 점에서 파괴력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계의 대학배출 인력에 대한 불만은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전문지식은 물론 실무처리 능력, 사회예절 등 모든 분야에서 산업계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기업은 신입사원을 선발하면 2,000만원 이상을 들여 6개월 이상 재교육하고 있다. 이처럼 재교육을 하고도 기업에서 제 몫을 하려면 20개월 이상 소요되고 비용도 6,000만원 이상 들어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때문에 산업계는 대학교수 중 상당수를 기업 임원 출신으로 충당하고 학생들의 실무처리 능력 배양을 위한 인턴십 과정을 설치하자는 제안까지 하고 있다. 최근 일부 대학이 산업계와 연계해 반도체학과 등을 설치하고 공동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등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제 시작일 뿐이다. 앞으로 ‘대학평가위원회’가 구성되면 대학도 ‘캠퍼스’에 안주하던 시대가 지났음을 인식해야 한다. 정부와 경제단체가 기업의 대졸 신입사원 재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대졸 때 직무수행 능력을 평가해 우수한 인재를 배출한 대학에는 채용시 가산점을 주기로 함에 따라 각 대학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셈이다. 더 이상 학교 편의에 따라 가르치고 싶은 것만 가르칠 수 없게 됐다. 산학협동교육 강화는 신입사원이 산업현장에 적응하지 못해 입사 직후 이직하는 것을 막고 이공계 기피현상 해소에도 도움이 돼 기업의 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지게 된다. 대학도 산업계의 불만에 귀를 기울여야 하지만 산업계도 뒷전에서 볼멘소리만 할 게 아니라 대학에 요구할 것은 해야 한다. 대학평가위원회 구성은 산업계의 대학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 및 요구의 첫 출발이라는 점에서 차질없이 이행되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