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 7월 5일] <1740> 시크릿 서비스


질문 두 가지. ①미국 최초의 연방수사기관은? 연방수사국(FBI)이나 중앙정보국(CIA)이라고 답한다면 틀렸다. 정답은 미국비밀수사국(USSS)이다. FBI나 CIA도 경호를 주임무로 하는 비밀수사국에서 갈라져 나갔다. ②비밀수사국 소속은 어디일까. 답은 국토안전부다. 혹여 재무부라고 답했다면 오답이지만 근거가 없는 것은 아니다. 예전에는 그랬으니까. 우리로 치자면 대통령 경호실이 기획재정부 소속이었던 셈이다. 이유는 최초 임무가 위조지폐 적발이었기 때문. 남북전쟁 중 남부가 위조했던 북부 화폐를 비롯해 각종 위폐가 성행하자 링컨 대통령은 암살 당하기 직전 대응조직을 재무부에 신설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1865년 7월5일, 직원 10여명에 비정규직 사설탐정 30명으로 시작한 비밀수사팀은 만연했던 위폐조직을 찾아내 통화신용제도가 자리잡는 데 기여했다. 업무도 늘어났다. 비밀결사인 KKK를 수사하고 미국ㆍ스페인전쟁에서는 외국 스파이 적발 업무도 맡았다. 비밀수사국의 업무가 늘어난 것은 연방수사기관이 전무했기 때문. 권력분산을 위해 경찰권을 각 주가 독립적으로 행사하는 구조에서 비밀검찰국은 1906년 대통령 경호까지 업무범위를 넓혔다. 가필드와 매킨리 대통령의 암살로 전담조직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새로운 기구 신설은 연방정부와 대통령의 권한을 비대하게 만들어 삼권분립이 위태로워진다는 우려의 절충점이 재무부 산하 비밀수사국의 활용이었다. 소속이 바뀐 시기는 2003년 1월. 미국의 심장을 강타한 9ㆍ11테러의 여파로 신설된 국토안전부 산하에 들어갔다. 오늘날 4,400여명의 요원이 연간 예산 14억8,300만 달러를 쓰는 비밀수사국에는 권력견제라는 논리가 깔려 있다. 경호업무가 대통령실 직속인 나라도 흔치 않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