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동구매 사이트 `인기 짱`

오늘은 지난번에 점찍어 둔 스커트를 공동구매 하는 날. 회사원 정민영(29)씨는 점심 식사 후에는 어김없이 인터넷 쇼핑몰에 들른다. 그는 마음에 드는 옷이나 패션 소품을 공동으로 싸게 구입하는 재미에 빠져 인터넷 쇼핑을 즐기며, 쇼핑몰별 공동구매 일정까지 꿰고 있을 정도로 인터넷 쇼핑 매니아다. 그는 무작정 싸다고 구입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인터넷 쇼핑 노하우를 갖고 있는 알뜰한 새내기 주부이기도 하다. 인터넷쇼핑의 한 패턴으로 자리잡은 공동구매는 저렴한 가격에 좋은 상품을 구입할 수 있어 젊은 네티즌들에게 인기다. 여럿이 모일수록 가격이 낮아져 공동구매의 인기가 높은 것은 오프라인 상점은 물론 일반 인터넷 쇼핑몰 가격보다도 저렴한 가격에 물품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넷 공동구매 100배 즐기기의 노하우를 알아보자. ◇알뜰구매요령= 나만의 가격 마지노선을 정한다. 인터넷쇼핑몰 이용에 아직도 미심쩍은 사람은 인터넷 쇼핑몰 구매를 통해 구입하는 적정 가격선을 정해보자. 저렴한 가격이 최대 장점인 공동구매 코너에서 자신이 구입하는 제품은 3만~5만원선 혹은 한달 총 구입액은 10만원 미만 등 적정한 가격대를 정해놓는 것이구입 후 후회를 줄이는 방법이다. 마음에 꼭 들지는 않는데 구입했다가 반품이나 환불시 별도의 택배비용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싸다고 무작정 구입해서는 안된다. 택배비용 지출이 늘어나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의류구입시에는 자신의 신체치수와 옷감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 신체치수는 어깨너비, 팔길이 등 구체적인 치수를 재서 비교하는 것이 좋다. 만약 제품에 표시돼 있지않으면 e메일이나 전화로 문의해서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공동구매 코너별로 비교하는 습관을 갖자. 각 쇼핑몰에서 운영하는 공동구매간에도 가격차이가 날 수 있다. 자신이 자주 찾는 공동구매 코너라고 무작정 구매버튼을 누르기 보다는 전문쇼핑몰, 포털쇼핑몰 등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의 공동구매 정보를 비교해서 단돈 100원이라도 싼 곳에서 구입하도록 한다. ◇최신 유행정보는 물론 사이버캐시 활용도= 공동구매는 최신 유행의 흐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 쇼핑은 물론 최신 유행정보까지도 얻을 수 있다. 특히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포털의 공동구매코너는 한발 앞선 계절상품이나, 명절, 각종 기념일 등에 최신 유행상품을 남보다 먼저 만나볼 수 있다.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던 상품들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기회인 셈이다. 취급품목도 다양하고 종류도수백여개에 달하는 공동구매 코너를 보고 있으면 쇼핑몰속의 작은 할인매장이 연상된다. ●인터넷쇼핑몰 이용 10계명 1. 구경은 백화점에서 구매는 인터넷에서= 상품을 직접 보고 결정해야 하는 사람이라면 백화점이나 할인점에서 상품을 살펴본 뒤 제품의 모델명을 적어 두는 것이 좋다. 2. 가격비교 사이트를 이용하라= 어느 쇼핑몰이 가장 저렴한 가격을 제공하는지를 알 수 없을 때는 가격비교 사이트를 이용한다. 3. 적립금, 무이자 할부 혜택도 꼼꼼히 살펴야= 최종상품을 선택한 후 가격을 비교할때 부가적인 혜택까지 고려하면 더 싸게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4. 단골 쇼핑몰을 만들자= VIP로 지정되면 추가 할인혜택 및 배송비 무료 기념일 선물 발송 등 일반회원보다 더 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다. 5. 사진이나 상품설명이 자세히 나와있는 쇼핑몰을 이용하라. 6. 광고메일을 활용하라= 각종 이벤트나 기획ㆍ할인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7. 주말을 잘 활용하라=인터넷 이용률이 가장 떨어지는 주말에 접속해 각 업체별 고객잡기 행사를 둘러보면 예상치 않은 횡재를 건질 수도 있다. 8. 사업자 정보를 적어두자= 인터넷쇼핑몰의 초기화면에 있는 사업자 정보를 확인한 후 전화번호, 사업자 등록번호 등을 메모해 둔다. 9. 마우스 클릭에 주의= 두번 클릭해 이중주문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반드시 주문내역을 확인한 후 주문 버튼을 누른다. 10.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사양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의류인 경우에는 신체치수를 상세하게 파악해야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기 쉽다. <김민열기자 mykim@sed.co.kr>

관련기사



김민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