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신세계 이마트의 상생전략

이효영 기자<생활산업부>

‘노무현 대통령이 신년회견을 통해 경제활성화를 선언하면서 동반 성장과 중소기업 육성을 강조하고 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을 올해 중점사업으로 선언한 가운데 신세계 이마트가 중소협력회사와의 상생협력에 적극 나선다.’ 며칠 전 신세계 이마트가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위해 반품을 전면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아 배포한 보도자료의 서두다. 이마트는 이에 앞서 지난해 8월 협력회사가 납품계약서만으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론’을 도입했으며 올 초부터는 협력회사의 납품 대금결제 기일을 최고 25일 앞당기기로 하는 등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강조해왔다. 또 지난해 10월에는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주변 상점들과 쿠폰북을 공동제작해 인근 레스토랑ㆍ극장ㆍ사진관ㆍ미용실 등 30여곳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생을 바탕으로 한 지역 마케팅을 홍보하기도 했다. 그러나 신세계가 유독 상생전략을 펼치지 못하는 분야가 있다. 바로 노동조합 문제다. 요즘 이마트는 계산원(캐셔) 노조문제로 시끄럽다. 이마트 용인 수지점이 전국 이마트 최초로 노조를 결성했으나 결성 1주일도 안돼 22명의 조합원 가운데 분회장 등 4명을 제외한 18명이 노조에서 탈퇴해 회사가 탈퇴를 강요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결국 이마트 수지점은 노조탈퇴를 거부한 조합원 4명 가운데 1명을 해고하고 3명은 3개월 정직 처분을 내렸다. 이에 맞서 이들은 이마트 경영진을 부당노동행위로 고발하기로 하는 등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 있다. 얼마간 프랑스에 거주한 적 있는 기자는 프랑스 생활 초창기에 슈퍼마켓 계산원들이 의자에 앉아서 일하는 모습을 보고 깊은 인상을 받은 적이 있다. 프랑스의 노동자 권익 보호가 다른 나라보다 월등히 앞선 면은 있지만 한국에서는 주로 퇴근 이후 할인점에서 심야 쇼핑을 할 때 지친 표정의 계산원들만 보던 기자로서는 그들의 유리한 근로조건에 부러운 심정이 앞섰다. 굳이 비정규직 근로자가 노조를 결성할 수 있는지, 이마트 수지점 계산원 노조의 주동자가 위장취업자라는 논란이 있다든가, 이마트 계산원들이 업계 최고 대우를 받는 게 사실인지 아닌지 등의 얘기를 들먹이고 싶지는 않다. 다만 국내 할인점 1위인 신세계 이마트의 상생노력이 노조까지 미치기를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까 하는 생각이 들 뿐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