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北 "핵동결-보상 기본의제 삼아야"

6자 실무회담 12일 개막… 美 '핵폐기원칙' 고수

북한이 12일 고농축우라늄(HEU) 핵 프로그램의 존재를 거듭 부인하고 ‘동결 대 보상’ 문제가 기본의제로 다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중국 베이징(北京)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열린 북핵 6자 회담 제1차 실무그룹회의 첫날 회의에서 이 같은 기존의 주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이에 대해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의 핵폐기(CVID) 원칙을 바탕으로 한 기존의 3단계 방안에 북한이 동참할 경우 광범위한 지원을 해주겠다”는 종전의 입장을 재차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양측은 회의 첫날인데다 실질적이고 성과 있는 회담을 만들기 위해 상대방을 자극하는 표현은 극히 삼가며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한국측은 북핵 문제가 CVID 원칙으로 해결돼야 한다는 기존의 입장을 거듭 천명하고 CVID 실현을 위한 첫 단계 조치로 핵 동결 대 에너지 지원을 추진하는 방안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6개국 대표단은 오전9시 개막식 없이 열린 공식회의에서 본격적으로 북한 핵문제를 논의했고 남북접촉과 북미ㆍ북일간 접촉도 본회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뤄졌다. 이들은 공식회의를 마친 뒤 중국측 수석대표인 닝푸쿠이(寧賦魁) 외교부 한반도 담당 대사가 주재하는 만찬에 참석했다. 한편 이날 류젠차오(劉建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핵으로부터 자유로운 한반도를 실현하는 방법, 핵무기를 제거하기 위한 첫 단계, 그리고 다른 특정한 문제들에 대해 참가국들간의 견해차가 있다”면서 “이번 회담이 6자간 견해차를 좁히고 서로 좀더 가깝게 다가서는 과정이 되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