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상선 자금운용 숨통

현대상선이 사옥매각에 이어 터미널 매각에 성공하면서 유동성위기에서 벗어나고 있다.현대상선은 16일 부산항 감만ㆍ자성대와 광양항 등 국내 3개 전용 터미널을 홍콩 항만운영업체인 HPH사에 총 2억1,500만달러(약 2,825억원)에 매각했다고 밝혔다. 최근 사옥(1,100억원)과 현대중공업 지분(1,300억원) 매각에 이어 이번에 터미널 매각으로 모두 5,200억원 이상의 유동성을 확보, 자금 운용에 숨통이 트이게 된 것. 현대상선은 사옥ㆍ터미널 매각 등을 통해 확보한 자금을 이달중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 3,800억원을 포함, 지난달 연체된 차입금과 이자 등 모두 4,800억원 가량의 부채을 상환하는 데 사용할 계획이다. 현대상선은 또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과 자동차운반선의 매출을 담보로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을 추진하고 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이달중 LNG선 매출을 담보로 4,000억~5,000억원 가량의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을 추진중"이라며 "일반 차입금 2조7,000억원중 채권단이 요구한 연내 부채 1조원 상환은 어려움없이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상선은 안정적인 경영을 위해 이번 터미널 매각에 이어 자동차선 장기계약을 통해 약 5,000억원 가량의 추가 ABS 발행을 위해 현대자동차와 장기용선계약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타이완의 카오슝터미널을 매각하고 미국의 타코마터미널과 롱비치터미널 중 1개를 팔아 2,000억~3,000억원의 자금을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상선의 다른 관계자는 "이번 터미널 매각을 계기로 그동안 추진해온 자구계획을 차질없이 마무리할 수 있게 됐다"며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고 회사 정상화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남은 자구안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영주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