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올림픽에서 정치와 스포츠가 구분되기를 바라지만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는 그 희망이 헛된 꿈이 될 가능성이 높다. 역사적으로 가장 기억에 남는 올림픽은 정치의 영향을 많이 받은 올림픽이었다. 히틀러 지배의 독일이 주도한 지난 1936년 베를린올림픽이나 테러리즘으로 물들었던 1972년 뮌헨올림픽이 그랬다.
물론 부정적인 사례만 있는 것은 아니다. 1968년 멕시코올림픽에서는 미국과 구소련의 치열한 메달 경쟁이 볼만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이보다도 1964년 도쿄올림픽이나 1988년 서울올림픽 같은 행사를 치르고 싶을 것이다. 두 올림픽은 양국의 기적적인 경제성장을 선언하는 ‘데뷔 파티’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베이징올림픽의 의미는 도쿄나 서울 올림픽보다 좀 더 복잡하다. 일본과 한국은 서방 선진국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이다. 도쿄ㆍ서울 올림픽 당시 양국은 미국의 헤게모니에 대한 도전자로 비쳐지지는 않았다. 당시 일본은 이미 민주화된 국가였으며 한국도 민주화 과정에 있었다.
중국은 다르다. 때문에 중국인들은 서방 국가들이 베이징올림픽을 너그러운 시선이 아니라 여러 가지 의문이 뒤섞인 시선으로 뜯어볼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서방 언론들은 공기오염이나 억압정책 등 올림픽 과정에서의 어떤 흠집도 중국사회의 시스템 미비로 연결하려 들 것이다. 중국이 일궈낸 부와 갖가지 성취를 선전하기는커녕 망상증과 국가주의ㆍ독재가 난무하는 나라로 낙인찍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
중국 정부는 베이징올림픽을 통해 인권 신장을 추구하겠다고 했다. 동시에 중국 정부는 올림픽을 원활히 치르기 위해 반체제 인사들을 구금하고 있다. 빈민가 주민들도 미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쫓겨났다. 올림픽 성화 봉송 과정에서의 잡음은 올림픽이 시작하기도 전에 중국의 이미지를 깎아내렸다.
외국 언론들은 이 같은 베이징올림픽의 흠결을 똑똑히 지켜봐야 한다. 중국 정부의 선전에 속아넘어가서도 안 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베이징올림픽을 평가하는 데 있어 공정해야 한다. 속 좁은 경쟁심을 품고 베이징올림픽을 바라볼 필요는 없다. 중국인들이 자국의 성장을 널리 알리고 싶어하는 마음은 자연스러운 것이기 때문이다. 베이징올림픽의 성공은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