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유해우려 의약품 공개"

당정, PPA 후속대책…리콜제 체계화 방침

정부와 열린우리당은 5일 국내에 시판 중인 의약품 가운데 유해성이 우려되는 성분들을 조사, 공개하기로 했다. 당정은 이날 국회에서 김근태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의회를 열고 늑장대처 논란을 빚고 있는 페닐프로판올아민(PPA) 판매금지의 후속 대책으로 이같이 결정했다고 이목희 제4정조위원장이 밝혔다. 이 위원장은 “PPA처럼 구체적인 조사연구를 통해서 검증된 것은 없지만 미국이나 선진국에서 유해기준에 걸리는 의약품들이 우리나라에도 존재한다는 당의 지적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청도 동의했다”며 “식약청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조사 결과를 국민에게 알리기로 했다”고 전했다. 식약청 조사대상으로는 미국에서는 사용이 중단됐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일부 의약품에 들어 있는 S성분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정은 또 개별 사용시에는 인체에 유해하지 않지만 다른 약품과 함께 사용할 경우 부작용이 우려되는 약품들을 분류해 경고하는 시스템(DUR) 도입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당정은 PPA의 유해성이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뒤늦게 판매금지 조치가 내려졌다는 지적에 따라 의약품 리콜제도를 체계화하고 의약품에 대한 지속적인 안전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이 위원장은 “현재 미국 등 외국에서 유해성이 입증된 의약품들이 국내에서는 아직도 판매, 제조되는 경우가 있다”며 “국민에게 소상히 설명하고 앞으로 어떤 절차를 거쳐 조치를 취할지 당정이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