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박 대통령, 리커창 총리와 '한반도 평화 안정'에 공감대

시진핑 주석 등 중국권력서열 1~3위와 잇달아 회동

박근혜 대통령이 올해 중국 권력 서열 1, 2, 3위 인사인 시진핑 국가주석과 리커창 총리, 장더장 전인대 상무위원장을 잇달아 만나면서 긴밀한 한중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이 북한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국가라는 점에서 연이은 한중 최고위급 인사들간 회동이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모아진다.

1일 청와대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은 6월 방한한 장 상무위원장을 접견했고 지난 9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전승절 행사 참석을 계기로 시 주석과 한중정상회담을 가졌다. 한중일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방한한 리 총리와도 지난달 31일 양자회담을 진행했다.


이번 양자회담에서 박 대통령과 리 총리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북핵·한반도 통일문제 등에서 양국간 전략적 소통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관련기사



박 대통령은 “양국간 전례 없는 최고위급 수준에서의 소통강화가 양국의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의 내실화는 물론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 번영에 기여하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북핵·북한문제와 관련해 “북핵 불용 및 북한의 긴장 고조 행위 반대 등 북핵·북한 문제에 대해 한중 양국이 공감대를 강화해 나가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중국이 계속해서 건설적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리 총리는 “한중관계가 현재 매우 양호한 시기에 진입했다”고 평가하면서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안정이라는 한중 공동의 이익확보를 위해 앞으로도 계속 긴밀히 협력하고 6자회담의 재개 등 비핵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자”고 답했다. 또 중국 권력 서열 5위인 류윈산 상무위원이 지난달 10일 북한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식을 맞아 북한을 방문한 결과에 대해 설명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류 상무위원은 북한에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을 비롯한 고위층들을 만나고 기념식에 참석했다. 이를 계기로 시진핑 체제의 중국과 김정은 체제의 북한 간 불편했던 관계가 회복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