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관광객에도 익숙한 미국 뉴욕의 명물 '옐로 캡' 산업이 우버·리프트 등 차량 공유 서비스 업체의 공습에 밀려 몰락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단지 손님을 뺏겨 이익이 줄었다는 차원을 넘어선다. 이들 '노란색 택시'의 전체 영업권 가치가 불과 2년 반만에 80억 달러나 증발하면서 택시 회사 파산 등 전방위 후폭풍이 불고 있다. 택시 영업 면허증을 담보로 대출을 해준 신용협동조합 등 금융권의 부실 우려도 제기된다.
◇'옐로 캡' 영업권 가격 반토막= '뉴욕의 택시 왕'으로 불리던 진 프리드먼은 올 7월 법원에 파산보호 신청을 냈다. 그는 아버지로부터 가업을 물려받아 뉴욕은 물론 뉴올리언스, 필라델피아, 시카고 등으로 사업을 팽창해왔다. 파산 신청 당시 보유한 택시 영업 면허증은 22개 택시회사에 걸쳐 1,000여 개에 달했다.
하지만 우버의 급성장이 승승장구하던 그의 발목을 잡았다. 올 상반기 옐로캡의 운행 횟수는 7,700만 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10% 가량 감소했고 택시 한 대당 벌어들인 평균 수입도 7만2,203달러로 9% 줄었다. 무엇보다 택시 영업 허가증 가격 폭락이 결정타였다. 2008년 금융위기 이전 서브프라임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사태를 겪은 금융권이 담보 가치 하락에 대출 연장을 거부하기 시작한 것이다.
프리드먼은 "뉴욕은 우버 같은 실리콘밸리 마피아에 맞서야 한다"며 "은행이 구제금융을 해주지 않으면 전국에 걸쳐 택시 소유주와 사업주들이 위기에 처할 것"이라며 울분을 토했다. 뉴욕시는 1937년 1만6,900대였던 옐로 캡 허가증을 교통난 해소 차원에서 점차 줄여 지금은 1만3,437대로 묶어 놓았다. 1937년 대당 2,500달러였던 영업권 가격도 2013년 고점 당시 400배 이상으로 치솟았다. 금융권도 안정적인 틈새 투자처로 보고 영업권 가치 대비 최대 90%까지 돈을 빌려줬다. 일각에서 거품 경고가 나왔지만 옐로캡의 독점적 지위에 대한 기대감이 투자가들을 지배했다.
하지만 뉴욕시의 우버 운행 차량 수가 2만대가 넘어서면서 문제가 커졌다. 옐로캡의 영업권 가격은 2013년 5월 132만 달러에서 최근 70만 달러로 폭락한 상황이다. 전체 옐로캡 허가증의 시장 규모도 177억 달러에서 94억 달러로 쪼그라들었다. 택시 업체들은 강력한 우버 규제 조치를 요구하지만 뉴욕시는 여론 등의 반발에 미적거리고 있다. 우버 등록 대수 제한을 추진하려다 당분간 유보하기로 한 게 단적인 사례다.
◇신용협동조합 부실화 우려 증폭= 영업권 가격 하락의 파장은 금융권으로도 튀고 있다. 시티은행은 짐 프리드먼에게 택시당 75만 달러에 빌려준 영업권 46개를 압류했고 옐로캡 대출 사업을 줄이기로 했다. 특히 지역내 소규모 자본을 운용해온 신용협동조합의 타격이 크다. 몬타욱 크레디트유니언 등 상위 4개 신협이 옐로캡 영업권 4,000개에 대출해준 금액은 25억 달러에 이른다.
멜로세 크레디트유니언의 경우 옐로캡 회사가 두달 이상 연체한 채무불이행 규모가 4억 달러로 지난해 말 1,780만달러에 비해 20배 이상 늘었다. 롬토는 900만 달러로, 1년 전 7만3,000달러의 123배로 급증했다. 뉴욕에 위치한 시그너쳐 역시 대출 손실 준비금을 올해 초 770만 달러에서 올 3·4분기 1,140만 달러로 크게 늘렸다.
프로그레시브 크레디트유니언의 로버스 파밀란트 최고경영자(CEO)는 "옐로캡 대출은 상대적으로 위험도가 낮다고 봤지만 상황이 매우 빨리 바뀌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 회사도 전체 6억2,470만 달러의 대출 가운데 옐로캡이 85%를 차지하고 있다.
더구나 영업권 가치가 더 하락하면 사정은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뉴욕 커뮤니티 뱅크 등 일부 금융사는 옐로캡 영업권 대출 사업을 조만간 완전히 접을 방침이다. 또 뉴욕 옐로캡의 위기는 다른 대도시 택시업계로도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가령 시카고의 택시 영업 면허증 가격도 2013년 36만 달러에서 24만 달러로 하락했다.이들 신협들은 택시 업계가 우버 등에 비해 과도한 규제로 어려움에 처한 만큼 기업 구제를 위한 채무재조정 때 정부가 손실을 분담해야 한다며 시카고·뉴욕 등에서 소송을 제기했지만 잇달아 기각당했다. 이코노믹스는 "영업권 대출 모델은 주택 버블처럼 가격이 오를 때는 좋지만 떨어지면 위험한 사업"이라고 지적했다.
/뉴욕=최형욱특파원 choihuk@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