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뉴욕증시]연내 기준금리 인상 기정사실화에도 급등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화됐는데도 이미 예상된 소식인데다 추가 긴축 속도가 점진적일 것으로 전망되면서 1% 중반대 급등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47.66포인트(1.42%) 상승한 1만7,737.16에 장을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33.14포인트(1.62%) 오른 2,083.58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89.18포인트(1.79%) 상승한 5,075.20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 발표를 앞두고 상승 출발한 지수는 장중 상승폭을 확대했다. 이날 발표된 10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 대다수 위원들은 다음 FOMC 회의까지 기준금리 인상을 위한 여건들이 충족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다만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후에 추가 인상 경로가 과거와 달리 매우 점진적이고 폭이 깊지 않을 것이라는 부분을 추가했다.

이날 연설에 나선 연준 위원들은 대체로 12월 기준금리 인상을 지지하는 입장을 밝혔다. 제프리 래커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CNBC 방송에 출연해 “봄부터 기준금리 인상을 지지해왔다”며 기준금리에 대한 입장은 지난 9월과 10월처럼 “여전히 인상쪽으로 기울어 있다”고 말했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은 총재도 “FOMC가 기준금리 인상 조건으로 제시한 ‘추가적인 성장’ 요건이 충족됐다”며 곧 제로금리에서 벗어나는 것이 괜찮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FOMC가 기준금리 인상 조건으로 제시한 ‘추가적인 성장’ 요건이 충족됐다고 평가했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도 미 경제가 0.25%포인트 금리 인상이 감당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반면 로버트 카플란 신임 댈러스 연은 총재는 첫 공개연설에서 저물가와 불확실한 세계 경제 환경 같은 변수 때문에 연준이 보통 때보다 기준금리를 낮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또 애플 주가 급등과 헬스케어 업종 상승세가 전체 지수를 끌어올리는데 한몫 했다. 애플 주가는 골드만삭스가 목표가를 163달러로 제시한 데 따라 3% 넘게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헬스케어업종이 2%가량 상승하며 가장 큰 오름폭을 기록했다. 또 금융업종과 소재업종, 에너지업종, 소재업종 등이 1% 이상 상승하는 등 전 업종이 올랐다.

이날 발표된 주택시장 지표는 다소 엇갈렸지만 전반적으로 호조세를 이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미 상무부는 10월 주택착공건수를 전월 대비 11.0% 감소한 연율 106만건(계절 조정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115만 건을 밑도는 것으로 지난 3월 이후 최저 수준이다. 하지만 주택착공건수는 지난 2007년 이후 최장 기간인 7개월 연속 100만건 이상 기록 중이다. 또 향후 주택 경기를 반영하는 건축허가건수는 전월 대비 4.1% 늘어난 115만건으로 집계됐다.

미국 2위의 건축자재 판매 체인업체 로우스 주가는 올해 3ㆍ4분기 주당 순익이 예상치를 웃돌아 0.8%가량 올랐다. 퀄컴 주가는 한국 공정거래위원회가 퀄컴이 시장지배력을 남용한 혐의를 포착했다는 소식에 9% 이상 급락세를 나타냈다. 퀄컴은 공개 성명을 통해 공정위가 포착한 혐의가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하고 강경 대응 입장을 밝혔다.

국제 유가는 연준의 긴축 속도가 느릴 가능성에 주목하며 강보합세를 나타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8센트 오른 40.75달러에 마쳤다.

유럽의 주요 증시는 테러 위협에 따른 독일-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친선경기 중단 여파가 지속한 가운데 혼조세를 나타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0.16% 상승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0.52%,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0.10% 하락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일보다 10.56% 내린 16.85를 기록했다. /뉴욕=최형욱특파원 choihuk@sed.co.kr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