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멘트업계 1위 쌍용양회 인수전의 열기가 차갑게 식고 있다. 가뜩이나 인수의향서(LOI)를 제출한 6개 후보들이 높은 가격과 2대 주주인 일본 태평양시멘트와의 분쟁 등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에서 공정거래위원회의 시멘트업계의 담합 제재라는 암초까지 등장했기 때문이다.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최근 쌍용양회·한일시멘트·성신양회·동양시멘트 등 7개 시멘트 회사가 지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5년간 가격담합을 통해 총 12조원가량의 매출을 기록했다고 판단, 이들 회사에 1조2,0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는 심사보고서를 발송했다. 공정위는 심사보고서에 대한 시멘트 업체들의 의견을 취합한 뒤 전원회의를 열고 과징금 부과 규모 등을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공정위의 담합 제재라는 새로운 변수가 떠오르면서 현재 진행 중인 쌍용양회 인수전의 열기가 급속하게 수그러들 것이라는 전망이 흘러나온다. 인수자가 감당해야 할 수백억~수천억원의 과징금도 문제지만 그보다는 공정위의 담합 '엄포'로 인해 시멘트업계의 시멘트 판매가격 결정력이 급격하게 약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수전에 참여한 사모펀드(PEF)의 한 관계자는 "공정위의 제재가 현실화하고 이에 따라 시멘트 가격을 결정하는 '시멘트·레미콘·건설업 3자 협의체'의 지위마저 흔들린다면 지금껏 과점체제를 토대로 한 가격 결정력을 무기로 경기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해온 시멘트업계 구도가 흔들릴 수 있다"며 "앞으로의 수익성을 담보할 수 없는 셈"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유진기업, 한일시멘트, 라파즈한라시멘트, 한앤컴퍼니, 글랜드우드 프라이빗에퀴티(PE), IMM PE 등은 지난달 29일 쌍용양회 지분 46.83% 인수를 위한 LOI를 제출한 바 있다.
실제 시멘트 판매단가는 상위 7개 시멘트 업체의 실적과 동행한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 라파즈한라가 주도한 제1차 시멘트 가격 하락기(2004~2007년)에 국내 시멘트 상위 7개사의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마진율(EBITDA/매출액)은 2003년 34% 수준에서 2007년 10.8%로 급감했다. 원재료인 유연탄 가격 급등을 시장점유율 확대를 통해 만회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된 제2차 가격하락기(2010년) 종료시점인 2010년에도 EBITDA 마진율은 6.9%까지 떨어진 바 있다.
이번 공정위의 제재에 따른 가격 '카르텔' 해체, 그리고 전방산업인 건설 경기와 맞물려 이르면 내년 하반기나 내후년부터 시멘트업계 간 '제3차 가격인하 경쟁'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점도 인수 후보자들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인이다. 투자은행(IB)업계의 한 관계자는 "내년 신규 분양 물량 규모가 올해 50만가구(추정치)에 비해 감소한 33만가구 수준으로 예상되며 리모델링 등 활성화 여파로 향후 분양물량이 올해와 같이 50만가구를 찍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쪼그라드는 시장흐름에 시멘트 업체들이 가격인하를 통한 시장점유율 확대로 맞설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에 실제 쌍용양회 매각전의 열기는 당초 기대와 달리 뜨겁지 않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경쟁기업인 삼표에 동양시멘트를 내준 만큼 쌍용양회 인수전의 유력주자로 꼽혔던 유진기업 역시 시멘트 업황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중립' 입장을 내비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으며 또 다른 전략적투자자(SI)인 한일시멘트·라파즈한라 등도 2대 주주인 일본 태평양시멘트(32.63%)와의 경영권 분쟁 우려로 인해 다소 조심스러운 입장으로 전해졌다. 현재 태평양시멘트는 채권단의 일방적인 매각 추진에 반발하며 최근 법원에 자신들이 보유한 쌍용양회 우선매수권이 유효하다는 지위를 확인하는 본안 소송마저 제기한 상태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미 쌍용양회 지분 10%를 확보하고 있어 자금부담이 덜한 한앤컴퍼니만이 그나마 인수 의지가 강한 상황"이라며 "SI들 입장에서는 조 단위에 가까운 자금부담을 지면서 2대 주주인 태평양시멘트와 불편한 동거를 이어가느니 차라리 이번 매각이 유찰돼 현 시멘트업계 구도가 바뀌지 않는 것을 바랄 수도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