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나날을 보낸 우리 수출에 있어 인도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는 시장이다.
일단 우리 제품을 팔 수 있는 고객이 12억명이 넘는다. 통일을 해도 인구가 1억명이 안 되는 우리나라의 12배를 웃돈다. 소비 여력이 큰 중산층도 가파르게 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오는 2030년 인도는 한 해에 12조8,000억달러를 소비하는 중산층을 보유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렇게 되면 인도는 중국과 미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두터운 중산층을 가진 경제 대국으로 부상하게 된다. 경제성장으로 소비 여력이 급격히 커지는 만큼 우리 기업들은 이 기회를 적극적으로 살려나갈 필요가 있다. 실제 보스턴컨설팅그룹은 인도인의 소비 지출이 지난 2010년 약 1조달러에서 2020년 3조6,000억달러로 10년 새 3.6배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백화점·슈퍼마켓 등 현대화된 소매점 수는 2006년 1만2,000여개에서 올해 6만7,000여개까지 늘어날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우리가 강점을 가진 휴대폰·TV·세탁기 등 가전제품과 화장품 및 미용기구, 의류 및 패션, 식품 등을 팔 수 있는 가장 유망한 시장으로 인도가 변모해가고 있다는 의미다.
인도는 또 중동과 아프리카·유럽으로 우리 제품을 수출하는 전초기지 역할도 할 수 있다. 인도를 잘 활용하면 중국·미국 등에 치우친 우리 수출시장의 다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얘기다. KOTRA 뉴델리무역관의 김성재 한국수출인큐베이터 소장은 "우리나라 혹은 중국에서 생산해 신시장에 수출하는 것보다 인도에서 생산하면 운송비를 아낄 수 있다"며 "뉴델리에서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까지는 비행기로 4시간밖에 걸리지 않고 아프리카와 유럽과도 지척"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유수의 다국적기업이 '넥스트 차이나'로 인도에 공장을 짓고 있어 이들 기업에 중간재를 납품할 기회도 열리고 있다. 독일 벤츠는 지난해 9월 1억 5,000만달러를 들여 현지 자동차 공장을 확장하기로 했고 제너럴모터스(GM)도 같은 목적으로 5년간 10억달러를 투입하기로 하는 등 투자가 줄을 잇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2015년 우리의 대인도 수출은 전년 대비 5% 줄었다. 인도가 우리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고작 2.3%에 불과하다. 급성장하고 있는 인도 경제의 과실을 따먹지 못하고 주춤하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교역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고 해도 중국에 비견할 12억 거대 시장인 인도 시장의 파급력 등을 고려하면 분발이 필요한 대목이다.
우리 기업들은 인도 공략을 위한 선결과제로 다른 나라에 비해 불리하게 적용되고 있는 한·인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개정, 부족한 정보 해소 등을 꼽고 있다. 무역연구원에 따르면 한국보다 나중에 발효된 일·인도 CEPA로 우리의 합성고무·합성수지 제품은 일본산에 비해 10%가량 비싸다. 그만큼 수출에 불리하다. KOTRA 설문조사에서도 인도 시장 진출의 애로점으로 '제품 단가가 맞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이 20%(2015년, 인도로 수출하는 181개 기업 대상)로 가장 많았고 각종 세금 관련 문제(14.7%), 복잡한 행정절차(14.3%), 시장정보 부족(12.9%) 등을 꼽은 비중도 높았다.
송송이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원은 "인도로 수출하는 우리 기업의 애로사항을 정부가 숙지해 올 6월로 예정된 한·인도 CEPA 개정 협상을 신속히 시작해야 한다"며 "인도 시장과 관련한 신속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정부가 전략적으로 기업에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기획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