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더민주, 박근혜 대통령의 4대개혁 요청 끝내 외면할 건가

박근혜 대통령은 4일 "정치가 국민을 위한 일에 앞장서야 하고 국민의 민생에 모든 것을 걸어줘야 한다"며 노동개혁 법안 처리를 강하게 요청했다. 국회의장 등 5부요인 그리고 새누리당 지도부와 경제5단체장, 고위공직자 등 우리 사회 지도급 인사들을 청와대로 초청해 가진 신년인사회에서다. 노동개혁과 경제활성화 법안 등을 처리하지 못하면 "경제활력의 불꽃이 일어나지 못해" 결과적으로 절박한 청년 일자리 문제도, 미래 30년의 성장기반 마련도 공허하다는 것이 박 대통령의 이날 발언의 골자다.

박 대통령은 올해 한국 사회가 직면한 내외부 과제들이 만만치 않다는 점도 지적했다.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경제 둔화 등 외부환경이 어려워지는데다 내부적으로는 청년 일자리와 기업 경쟁력 약화, 인구절벽 등 구조적 문제까지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무엇보다 미래세대를 위한 4대 구조개혁 완수가 절실함을 역설했다.

그럼에도 박 대통령의 요청은 반향 없는 메아리에 그칠 공산이 크다. 개혁 법안 처리에 반대하는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 등 야당 지도부가 불참했기 때문이다. 야당 지도부의 신년인사회 불참은 박근혜 정부 들어 처음 있는 일이다. 더민주 측은 (한일) 위안부 문제 협상 파행이나 국회 경색 등의 상황에서 의례적인 행사에 가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옹색한 사유를 전했다고 한다.

이는 박 대통령의 정치적 '소통 부재'를 계속 비판해온 야당 입장에서도 온당치 않은 행보다. 더민주 지도부는 최소한의 소통 차원에서라도 신년인사와 덕담을 나누는 자리에 참석해 박 대통령의 요청 사항을 듣고 자신들의 입장과 의견도 밝혔어야 마땅했다. 1월 임시국회 종료(8일)가 얼마 남지 않은 이제라도 미래세대를 위한 개혁의 필요성을 역설한 박 대통령의 호소에 더민주 지도부는 분명한 입장과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