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가구 등 국내 생활산업 생태계 경쟁력, 중국에 추월 당했다

중기중앙회 '생활산업 글로벌 경쟁력 및 지원정책 수요조사'

가구나 시계 등 국내 생활산업 생태계 경쟁력이 주요 선진국은 물론 중국에도 추월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11일 가구·시계·귀금속·안경·문구·소형가전 등 생활산업 14개 업종, 521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생활산업 글로벌 경쟁력 및 지원정책 수요조사’에 따르면, 가격경쟁력은 중국에 밀리고 비가격 경쟁력은 유럽연합(EU)과 미국에 뒤지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구체적으로 국내 생활산업의 생태계 경쟁력은 미국에 11.5포인트나 떨어졌으며 심지어 중국에도 이미 추월당해 2.1포인트가 뒤처진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생활산업 생태계 경쟁력을 100으로 봤을 때 미국은 111.5로 국내보다 11.5포인트가 높았으며, EU(109.2)와 일본(104.6)도 우리나라보다 각각 9.2포인트와 4.6포인트 높았다. 중국의 생활산업 생태계 경쟁력은 우리나라보다 2.1포인트 앞선 102.1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 생활산업 제품 가격 경쟁력은 중국(116.4)에 비해 16.4포인트나 떨어지는 반면, EU(97.9)나 일본(97.6)·미국(97.3) 등 선진국과는 불과 3포인트 차이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또 국내 생활산업 중소기업 제품의 품질·디자인·브랜드 등 비가격 경쟁력은 EU에 각각 10.1포인트, 12.6포인트, 14.5포인트가 뒤처졌으며, 기술수준과 연구개발 능력은 미국에 비해 각각 11.3포인트와 14.8포인트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국내 생활산업 중소기업의 최대 경쟁국으로는 응답기업의 76.6%가 중국을 꼽았으며 이엇 일본(43.6%), 미국(19.0%)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말 출범한 ‘아세안’(12.5%) 경제공동체가 EU(8.4%)를 제치고 국내 생활산업 중소기업의 주요 경쟁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 생활산업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우선 순위 정책분야는 ‘기술개발’이 7점 만점 중 4.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줬으며 ‘판로개척’(4.47점), ‘자금’(4.45점) 순으로 나타났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산업지원본부장은 “국내 생활산업의 취약한 글로벌 경쟁력 수준이 확인된 만큼 체계적인 육성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반도체, 자동차 등 국내 주력업종의 성장한계를 보완하고 일자리 창출의 보고(寶庫)로서 생활산업이 육성될 수 있도록 연내 법제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