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택

[올 뉴타운 분양 주목하라] 해제된 뉴타운도 다시 보자

재산권 행사 자유로워지며 빌라 신축·거래 활발해져

영등포 등 일부 땅값 올라

도시재생 선도사업 지역도 '반전' 투자 유망지로 눈길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해 해제된 뉴타운 지역 중에서도 입지에 따라 '반전' 투자가 가능한 곳들이 있다.

실제로 뉴타운 지정 해제 이후 재산권 행사가 자유로워지면서 땅값이 오른 곳들이 존재한다. 다만 기반시설 없이 빌라만 우후죽순으로 들어서는 경우가 많아 꼼꼼한 체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서울시는 사업이 지지부진한 뉴타운 지역을 중심으로 '뉴타운 출구전략'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기준 전체 683개 구역 중 48.1%에 달하는 329개 구역의 지구지정이 해제된 상태다.

이중 교통과 편의시설이 갖춰진 지역은 투자처로 눈길을 끌고 있다. 영등포 상권을 끼고 있는 영등포뉴타운의 경우 일부 지역이 해제된 이후 빌라 등의 주택 신축이 이어지면서 과거에 비해 땅값이 올랐다. 전세난에 저렴한 오피스텔·빌라 등을 찾는 수요자들은 도봉구와 성북구 등에서 활발하게 거래를 진행하고 있다.

다만 체계적인 도시계획과 기반시설 없이 무분별하게 빌라가 들어서 난개발 우려가 남는다. 주택법에 따르면 30가구 미만 공동주택은 부대복리시설을 설치할 의무가 없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교통이 편리한지, 도로와 기반시설 등이 어느 정도 갖춰진 지역인지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도시재생 선도사업으로 지정된 지역도 있다. 2013년 서울에서 처음으로 뉴타운지구를 해제한 종로구 창신·숭인 지역은 2014년 국토교통부의 그린재생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서울시의 '서울형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중복 지정됐다. 이 지역은 앞으로 기반시설 정비와 봉제산업 활성화 등 복합재생지역으로 거듭날 계획이다.

뉴타운 사업 대신 노후 주거지를 정비하는 방식으로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새로운 정비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중랑구 면목동에서 '면목우성주택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전국에서 처음으로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이후 총 5곳에서 조합이 설립돼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관련기사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