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거래소, 주식 매매 시간 30분 연장 추진

한국거래소가 올해 안에 국내 주식시장의 매매 거래시간을 현행보다 30분 늘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거래시간 연장을 통해 주식 거래를 늘리는 동시에 해외 증시와의 시차를 줄여 외국인투자가의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최경수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21일 서울 여의도 사옥에서 열린 2016년 사업계획 발표를 통해 "거래시간 연장으로 아시아 시장 간 중첩을 강화해 한국 증시의 국제화를 도모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며 "올해 조속한 시일 안에 거래시간 연장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현재 국내 주식시장의 매매 거래시간은 6시간(오전9시~오후3시)으로 싱가포르(8시간)나 독일·영국(8시간30분) 등에 비해 2~3시간가량 짧다. 이 때문에 투자자들의 매매 기회를 제약하고 새로운 정보 반영을 다음 거래일로 지연시켜 가격효율성을 저해한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특히 최근 중국·홍콩·싱가포르 등 아시아 금융시장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거래시간을 연장하면 아시아 시장 간 중첩 시간이 늘어나는 효과도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거래시간이 30분 연장되면 산술적으로 한 해 100조원 이상의 거래대금 증대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최 이사장은 "지난해 거래시간 연장을 위해 정부 당국, 회원사 등과 많은 얘기를 나눴고 기본적으로 자본시장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면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선 입장을 같이 했다"며 "노동시간 연장 등의 문제만 해결된다면 연내 시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 노조와의 협의를 거쳐 거래시간 연장이 최종 확정되면 지난 2000년 이후 15년 만에 국내 주식시장의 거래시간이 변경된다. 국내 증시의 정규 거래시간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4시간에서 5시간으로 늘어난 데 이어 2000년에는 점심시간 휴장(1시간)이 폐지되면서 현행 6시간 체제로 바뀌었다.


관련기사



김현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