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한국은 너무 제멋대로여선 안된다는 중국의 황당 발언

국제사회가 북한의 4차 핵실험 관련 대북제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한국을 대하는 중국 측의 오만이 도를 넘어서고 있다. 중국 관영매체인 환구시보는 27일 사설에서 "중국의 대북제재에 관한 문제에서 한국이 너무 제멋대로여서는 안 된다"는 비외교적 발언을 서슴지 않았다. 이어 "한국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로 중국을 압박해서는 안 된다"며 "중한 간 신뢰가 엄중한 손상을 입을 것이며 (한국은) 그로 인해 발생하는 대가를 치를 준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압박하기까지 했다.

환구시보는 중국 정부가 외교적으로 공개하기 어려운 사항을 간접적으로 밝힐 때 흔히 사용하는 매체다. 중국의 속뜻이나 다름없다는 말이다. 그런 매체의 주장이 정당한지를 논하기에 앞서 표현의 무례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제멋대로'나 '대가를 치를 준비' 등은 상대국을 깔보고 무시하는 표현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이 매체는 앞서 대북제재 논의과정에서도 "한국은 대국(大國)의 전략 게임을 즐기는 미국의 바둑알 하나" 운운하며 한국을 얕잡아본 전력이 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중국해관총서(세관)는 중국이 지난해 북한에 수출한 원유가 없다는 통계치를 발표한 바 있다. 북한에 수출한 원유가 없다면서 수출금지가 피해를 준다는 게 무슨 뜻인지도 이해하기 어렵다.

중국은 "사드 배치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한민구 국방부 장관의 발언이 왜 나왔는지 잘 알 것이다. 사드 배치는 대북제재가 실질적 효과를 얻지 못할 경우 북한의 핵 위협으로부터 한국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자위 차원에서 당연히 검토해야 할 사안이다. 문제의 핵심이 대북제재에 동의하지 않는 중국 측에 있음을 알아야 한다.

중국은 미국과 함께 G2로 불리는 대국이다. 나약하면 남이 업신여기지만 사나워도 남이 꺼리는 법이다. 태산 같은 자부심을 갖되 누운 풀처럼 겸손할 줄도 알아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