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미국 작년 4분기 0.7% 성장 그쳐 추가 금리인상 제동 걸릴 수도

中 둔화·달러화 강세에 발목

연간으론 2.4%… 전년과 동일

소비·투자 등 모든 부문 둔화… 3월 금리인상 전망 사그라져

지난해 4·4분기 미국의 경제성장 속도가 크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경기둔화와 달러화 강세의 역풍이 미국 경제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지난해 하반기 이후 신흥국으로부터의 자본유출을 촉발한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높아졌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4·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연율 기준 0.7%로 잠정 집계됐다고 29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는 전 분기의 2.0%보다 1.3%포인트 낮고 지난 2014년 4·4분기(2.1%)보다 1.4%포인트 낮은 것이다. 전문가 예상치(0.8%)보다도 0.1%포인트 밑돌았다. 지난해 전체 성장률은 2.4%로 집계돼 2014년도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소비와 투자·수출 등 모든 부문의 지표가 부진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소비지출이 식은 것이 성장의 발목을 잡았다"고 전했다. GDP의 3분의2를 차지하는 소비지출증가율은 2.2%에 그쳐 지난해 3·4분기의 3%보다 하락했다. 투자는 에너지 기업의 수익성 감소로 2.5%로 줄었고 수출도 2.5% 감소했다.

미국의 성장률 둔화는 앞서 발표된 경제지표에서 어느 정도 예견됐다. 산업생산이 최근 12개월 가운데 10개월간 감소했고 기업이익도 지난해 3·4분기 2014년 최고점 대비 5%가량 줄었다. 기업 재고도 올해 들어 급격하게 감소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세계 2차대전 이래 산업생산과 기업 이익이 감소하면 어김없이 경기침체가 발생했다"며 "이번 성장률 저하도 충분히 예상됐다"고 보도했다. 미국의 성장률 둔화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는 느려질 공산이 커졌다. 전문가들은 당초 연준이 올해 3~4차례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연준이 새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며 기준금리를 동결하자 올해 금리 인상은 두 차례 정도에 그칠 것이라는 의견이 대세를 이뤘다. 하지만 이번에 성장률이 예상치를 밑돌면서 상반기 중 금리 인상이 사실상 물 건너갔다는 관측이 나온다. 저유가와 강달러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소비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데다 신흥국 경제 침체로 수출마저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은 신흥국의 자본이탈과 경기침체를 가져오고 이는 다시 미국 수출 타격이라는 악순환을 불러올 수 있어 추가 금리 인상은 어렵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