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北 미사일 발사 예고] 개성공단 폐쇄·축소 여부 최대관심

■ 정부 경고 '혹독한 대가' 내용 뭘까

국제기구 지원도 중단 가능성… 北선박 전세계 입항금지 검토

정부 '北 미사일 발사 감행시 혹독한 대가 치를 것'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이 3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예고와 관련,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 강행 시 국제사회로부터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임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위성 발사를 명분으로 장거리 미사일 발사 계획을 통보한 데 대해 정부가 경고한 '혹독한 대가'가 무엇일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정부는 3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직후 "북한이 로켓 발사를 강행할 경우 국제사회로부터 혹독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여기에 언급된 '혹독한 대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 제재와 한미일 등 각국의 독자적인 양자 제재, 국제사회의 다양한 대북 압박수단 등을 총망라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가운데 최대 관심사는 개성공단의 폐쇄나 축소와 같은 우리 정부의 강력한 독자 제재가 포함될지다.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개성공단 폐쇄와 관련한 질문에 "(방문·체류 제한 외에) 추가 조치를 할 필요가 있는지는 북한에 달려 있다"고 답했다. 이는 북한이 추가 도발 등을 강행할 경우 개성공단과 관련해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이와 함께 정부가 북한 4차 핵실험 직후 민간 차원의 남북교류와 대북지원을 잠정 중단시킨 데 이어 국제기구를 통한 간접적인 대북 인도지원도 축소·중단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한편 미국 등은 양자 제재 방안으로 북한의 돈줄을 말리기 위해 북한 선박이 전 세계 항구에 들어가는 것을 부분적으로 금지하고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의 정부·기업·은행 등을 제재하는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 수준의 금융제재를 가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