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영종~강화 평화도로 건설… 6년여 만에 다시 구체화

인천시, 국비사업 타당성 조사 위해 추경예산 3억 반영


인천 영종도와 강화도를 잇는 '영종~강화 평화도로' 건설 사업이 6년만에 재추진된다. 비용대비편익비율(B/C)이 1이 안돼 사업성이 떨어져 국비지원이 안돼 중단됐지만, 인천시가 지역의 강력한 추진여론으로 재추진 행보를 밟고 있어서다.

3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작년 말 영종~강화를 잇는 14.6㎞의 평화도로 사업 재추진을 위해 시 건설교통국장을 단장으로 전담팀을 꾸리고, 최근에는 도로과와 해양항공정책과, 해양도서정책과, 송도개발과 등이 참여하는 확대회의를 개최하고 예비타당성 용역 조사에 착수하기로 했다.

사업추진을 위해서는 B/C 1 이상을 얻어야 하는데, 이번 용역은 B/C 1 이상이 나올 수 있도록 사업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다. 인천시는 올 추경을 통해 연구용역 예산 3억원을 전격 반영키로 했다.

시는 사업 추진을 위한 예비타당성 비용 반영을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등에 건의했지만 거절됐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올해 자체 예산을 들여 평화도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사전조성 작업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평화도로는 영종도에서 옹진군 신도까지 3.5㎞, 신도에서 강화도까지 11.1㎞ 등 14.6㎞의 폭 4차로 연도교로 건설하는 다리다. 사업비는 영종~신도 1,501억 원, 신도~강화 4,893억 원 등 총 6,394억 원으로 추정된다. 지난 2013년 예타에서 B/C가 0.59~0.78로 1에 못 미쳤다. BC 1 이하면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전담팀은 타당성 연구용역을 통해 B/C를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을 찾고 대규모 재원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사업 재추진을 위해서는 사업성을 높여 B/C 1이상을 얻어야 하고, 총 예상 사업비 6,400여억원을 조달하는 게 가장 큰 숙제"라고 말했다.

시는 이에 따라 사업성을 높여 예타를 통과한 후 정부에 국비지원 등을 요구하거나 섬 관광자원화 사업예산을 요청할 방침이다. 또 경제자유구역 개발이익금을 투자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B/C를 끌어 올려 경제성을 확보한 뒤 다리 건설에 필요한 재원 확보 방안을 빨리 찾아서 지역주민들의 숙원사업을 해결하겠다"며 "강화도 남단의 경제자유구역지정 후 개발이익을 통한 건설이나 제5차 국도 5개년 계획에 반영해 전액 국비로 충당하는 방법 등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co.kr


관련기사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