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한복입기·절하기] 통통할 땐 저고리 짙은색으로… 아담하다면 잔잔한 무늬가 제격

남자는 바지 먼저 입고 왼쪽으로 주름 가도록… 저고리-조끼-마고자 順

상자에 개어 보관할 땐 무거운 치마 먼저 넣고 견·모직물은 한지로 밀폐

IMG_9699_re
/사진제공=박술녀한복

민족 최대의 명절 설이 찾아왔다. 명절 분위기를 살리는 데는 한복 만한 것이 없지만 자신의 얼굴형과 체형에 맞게 차려 입어야 맵시 있는 연출이 가능하다. 더 이상 한복은 옛날 사람들만 입는 전통 의상이 아니라 패션 피플들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상이다.

◇한복 입는 법=체형에 맞춰 한복을 고르면 효과 만점이다. 키가 작을 경우에는 저고리는 약간 짧게, 치마는 길게 하고 통통할 경우에는 저고리는 짙은 색상으로 하면 차분한 스타일 연출이 가능하다. 아담하고 날씬한 체형은 잔잔한 무늬로 귀엽고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강조하고 키가 크고 통통한 체형은 짙은 색을 이용한 저고리나 치마의 배색을 하면 좋다.

목이 가늘고 긴 체형은 깃의 길이는 짧게, 깃의 너비는 넓게 해 목을 덮게 한다. 동정이 너무 두꺼우면 목이 더 길어 보여 적당한 너비의 동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목이 굵고 짧은 체형은 깃은 좁게, 고대는 넓게 하고 앞깃의 길이를 길게 해 목을 시원하게 노출한다.

둥근 얼굴형은 저고리의 깃을 깊게 파고 동정도 좁게 다는 것이 얼굴형을 가리는데 적당하다. 긴 얼굴형은 저고리의 깃을 넓고 짧게, 동정도 넓게 하는 게 효과적이다. 고름을 맬 때에는 고름을 반듯하게 펴서 양손으로 잡은 후 긴 고름은 아래로 짧은 고름은 위로 가도록 X자형으로 잡고 위의 짧은 고름을 안쪽으로 집어넣은 후 잡아빼 돌려 감는다. 돌려 감은 짧은 고름 사이로 긴 고름을 넣어 고를 만든 후 잡아당겨 고름 매무새를 잘 정돈하면 된다.

남자의 경우 한복 바지를 먼저 입는다. 바지를 입을 때는 앞 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둘레를 조절한다. 바지 허리를 잡고 오른쪽으로 바짝 당겨 당긴 부분을 왼쪽으로 포개 매듭이 앞으로 오도록 허리끈을 매 준다. 버선을 신은 다음 대님으로 묶어준다. 이때 윗부분을 밑으로 잡아당겨 모양을 잘 정리해 주는 게 중요하다. 대님을 정리한 뒤에는 저고리,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 순으로 갖춰 입는다. 저고리를 입을 때에는 안감의 띠를 먼저 묶은 뒤 고름을 매면 된다.

◇한복 보관법=명절에 한복을 입고 음식을 장만하다 보면 얼룩이 쉽게 진다. 저고리나 두루마기, 마고자 등 부분적으로 얼룩이 졌을 때에는 수건을 두세 겹 밑에 깔고 얼룩이 묻은 반대쪽을 수건에 닿도록 놓는다. 벤젠을 솜뭉치에 묻혀서 수건에 얼룩이 완전히 묻어 나올 때까지 이리저리 뒤집어 가며 꾹꾹 누르거나 두들겨서 빼면 된다. 얼룩을 지우는 모든 방법은 옷의 안 보이는 면에 먼저 시도한 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 시 먼저 한복을 깨끗이 털어 먼지를 제거한 후 개어 정리한다. 저고리와 치마는 잘 개어 상자에 넣고 보관해도 좋다. 이때 주의할 점은 치마를 먼저 넣고 저고리를 넣는 것이다. 치마의 무게가 저고리보다 무거워 오랫동안 눌려 저고리의 형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견직물, 모직물은 한지에 잘 싸서 상자 등에 밀폐되게 보관하고 금·은박 등이 장식된 부위에는 부드러운 한지를 사이사이 끼워 넣어 문양이 상하지 않도록 한다.

●절하는 법

男, 왼손이 오른손 위로… 女, 오른손이 왼손 위로


절은 평절과 큰절이 있는데 남자의 경우 차이는 없다. 남자 큰절은 우선 바른 자세로 서서 두 손을 앞으로 모아 잡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후 양손을 포개 양 팔꿈치와 손이 배 부근에서 수평이 되도록 한다. 이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손 위에 올라가는 것이 맞다. 허리를 굽혀 손으로 땅을 짚고 왼발을 먼저 구부린다. 그다음 오른발을 구부려 왼발 바닥 위에 포개서 앉는다.

엉덩이를 발에 붙이고 손을 구부려 양 팔꿈치가 땅에 닿도록 한 뒤 얼굴이 손까지 내려올 정도로 허리를 굽혀 절한다. 이때 엉덩이가 위로 들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절한 뒤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 뒤 일어나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여자 큰절의 경우 바른 자세로 손을 앞으로 모은 상태에서 손과 팔꿈치가 수평이 되도록 어깨높이로 들고 고개를 숙인다. 남자와 반대로 오른손이 왼손 위에 가도록 포갠다. 포갠 양손 사이로 시선은 바닥을 향한다. 그 후 왼쪽, 오른쪽 순으로 무릎을 구부린 후 오른발이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개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손등을 이마에 꼭 붙인 상태에서 윗몸을 45도쯤 앞으로 굽혀 절한다. 잠시 머무른 후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워 일어나 발과 손을 가지런히 모은다.

여자 평절은 큰절과 거의 같지만 두 손을 이마에 올리는 것이 아니라 양옆으로 해 손끝을 바닥에 짚는 것이 다르다.



관련기사



신희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