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두산중공업 해양플랜트 국산화 협력

현대중공업과 두산중공업이 함께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에 나서기로 했다.

현대중공업은 4일 경남 창원시 두산중공업 본사를 찾아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해양플랜트 설계·생산기술을 공유해 부유식 원유생산저장·하역·설비(FPSO)와 부유식 구조 플랫폼(TLP) 등 해양플랜트의 핵심 기자재 6종을 함께 개발하기로 했다. 또 울산·경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발굴한 우수 중소기업을 이번 연구개발에 참여시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도 이끌어낼 예정이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2014년 9월 해양플랜트 기자재 국산화를 위한 전담반(TFT)을 구성한 뒤 압력용기와 공기압축기, 열 교환기 등 중소기업이 개발한 각종 기자재들을 건조 중인 해양플랜트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모두 38종의 해양기자재를 국산화했다.

관련기사



두산중공업은 지난 2012년 ‘해양플랜트용 저온 주단강 소재’를 개발했으며 2013년부터 ‘고효율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 국책사업을 주도하는 등 플랜트 시장에서 자체 기술을 확보하는데 힘쓰고 있다.

김숙현 현대중공업 해양사업 대표는 “기자재 국산화는 해양플랜트의 경쟁력을 높이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중공업은 지난해 12월에도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과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등과 함께 ‘엔진 기자재 국산화를 위한 MOU’를 체결하고 유압 장치와 압력센서 등 18개의 엔진기자재를 개발하고 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