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우선추천, 소수자·취약지 국한" 급한불 끈 與공천갈등

이한구 위원장·공관위원 회동… 당원배제 경선은 추후 논의키로

이한구 "당대표 경선 관여말라" 김무성 "선거 지더라도 못받아"

오전엔 언성 높이며 갈등 격화

이한구, 황진하 공관위 부위원장 면담
이한구(가운데)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장이 17일 국회의원회관 사무실에서 황진하(오른쪽) 공관위 부위원장, 김회선 클린공천지원단장 등과 면담한 뒤 공천 룰 갈등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다. 이날 새누리당에서는 우선추천제의 대상 범위를 놓고 계파 간 날카로운 신경전이 벌어졌다. /=연합뉴스

확전 양상을 보이던 여권의 두 계파가 17일 '우선추천제도는 정치적 소수자 또는 취약지역에 국한한다'는 내용에 합의하면서 급한 불을 껐다. 또 다른 논란거리였던 '당원 배제 경선'과 관련해서는 추후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친박계 의원인 김회선 클린공천지원단장은 이날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을 비롯한 공관위원들과 회동을 한 후 브리핑을 통해 "언론도 그렇고 위원들도 그렇고 착각이 있었던 것 같다"며 "우선추천제는 정치적 소수자와 당선 가능성이 부족한 취약지역에 한해 적용하려 한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 강남이나 대구·경북(TK) 등을 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하면 여성·장애인 등만 후보로 꽂을 수 있는 것"이라며 "물론 광주·전주 등의 취약지역에는 정치적 소수자가 아닌 후보도 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도 기자들과 만나 "어제(16일) 발표한 내용에 틀린 것은 없다"면서도 "우선추천과 관련한 얘기는 과거의 전략공천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당선이 유력한 지역에서 정치적 소수자를 위한 배려를 진지하게 하려고 한다"며 한 발 물러선 모습을 보였다.

다만 이 위원장은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비박계가 공관위의 의사 결정에 개입하려는 움직임에 대해서는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그는 "제발 당 대표는 경선에 관여하지 말라고 좀 하라. 당 대표는 공천과 관련해 아무 권한이 없다"며 "자꾸 저렇게 하면 당헌·당규에 따라 대표가 물러나든지, 내가 물러나든지 그래야 되지 않겠나"라고 날을 세웠다.

일단 이날 회동을 통해 양측은 우선추천제 활용과 관련해 잠정 합의를 이뤘지만 여론조사 경선 과정의 당원·일반국민 비율과 현역 부적격자 심사기준 등에 대해서는 논의를 이어가기로 해 갈등의 불씨는 여전한 상태다.

이날 오후 공관위원 간 회동이 시작되기 전까지만 해도 친박계와 비박계는 극렬한 대치 속에 '공천전쟁'으로 치닫는 양상을 보였다.

김 대표는 이날 오전 당 최고중진연석회의가 비공개로 전환된 후 책상을 내리치며 날 선 발언들을 쏟아낸 것으로 전해졌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김 대표는 이날 회의에서 "상향식 공천은 김무성 개인의 뜻이 아니고 의총과 최고위원회의와 전국위원회 등에서 결정된 사안인데 공관위에서 합의된 사안도 아닌 (이 위원장) 개인의 의견을 발표할 수 있느냐"고 격분했다.

그러면서 "선거를 하지 않는 한이 있더라도, 지는 한이 있더라도 (이 위원장의 안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배수진을 쳤다.

반면 친박계는 "상향식 공천은 한계가 있다(정갑윤 국회부의장)" "우선추천제도 활용 방침은 당헌·당규에 벗어나지 않는다(원유철 원내대표)"며 일제히 이 위원장을 지원사격했다.

이에 비박계인 권성동 당 전략기획본부장은 "2014년 당헌·당규 개정 당시 우선추천제도는 취약지역에 한해 제한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구두합의를 내팽개치는 처사"라며 의총 소집을 준비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돌입하기도 했다.

전국에서 동시다발적인 전략공천이 이뤄지면 그동안 김 대표가 갖가지 분란을 수습하며 힘겹게 지켜온 '국민공천' 원칙이 하루아침에 무너지면서 공천 방식을 둘러싼 모든 논의가 원점으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은 비박계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결국 '칼자루'를 쥔 쪽은 이 위원장이라고 보고 있다. 의총에서 어떤 격론이 오가든 공천 방식과 관련해 공관위에서 3분의2 이상 찬성으로 의결되면 당헌·당규에 따라 당 최고위가 이를 수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공관위에는 이 위원장 외에 박종희 제2사무부총장, 김회선 클린공천지원단장 등이 친박계 인사로 포진해 있으며 6명의 외부위원 역시 친박이 주를 이룬다.

/나윤석·전경석기자 nagija@sed.co.kr


관련기사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