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대한항공, '근무규정 이유로 조종 거부' 기장에 대기발령

사측 "의도된 행동인지 조사"

대한항공이 '24시간 내 연속 12시간 근무 규정'을 이유로 조종을 거부한 채 준법투쟁한 기장에게 대기발령 조치를 내렸다. 노조가 2015년 임금협상 결렬에 따른 쟁의행위를 가결하고 지난 20일 준법투쟁을 시작한 후 첫 사례다.

24일 대한항공에 따르면 박모 기장은 21일 오전 인천발 필리핀 마닐라행 KE621편을 조종했다.

현지에서는 12시간 휴식 후 오후11시45분(현지시간) 마닐라발 인천행 여객기를 조종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대한항공은 인천∼마닐라 노선에 KE621편(오전)·KE623편(오후) 하루 2편의 여객기를 운항하며 각각 기장 1명, 부기장 1명이 탑승한다. 오전 여객기를 타고 온 조종사는 호텔에서 휴식 후 밤에 도착한 여객기를 몰고 한국으로 돌아가고 밤에 도착한 조종사는 휴식 후 아침에 도착한 여객기를 몰고 돌아가는 시스템이다.

박 기장이 조종한 마닐라행 여객기는 활주로 혼잡 등 이유로 현지에 예정보다 24분 늦게 도착했다. 박 기장은 돌아가는 여객기를 조종하면 '24시간 내 연속 12시간 근무 규정'에 어긋나는 상황이 되자 조종을 할 수 없다고 사측에 밝혔다. 박 기장은 같은 날 오후 여객기를 몰고 온 조종사가 휴식을 취하지 않고 자신을 대신해 조종하도록 사측을 통해 스케줄을 조정했다.

박 기장이 만약 조종했다면 연속 12시간 4분 근무하게 되는 상황이었다. 박 기장은 "인천∼마닐라 노선은 항상 '연속 12시간 근무규정'을 지키기 빠듯한 노선이어서 계속 문제가 제기돼왔다"고 말했다.

노조는 투쟁명령 1호를 통해 정시출근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비행준비, 근무를 위한 이동시 이코노미석 배정 거부, 항공법위반 운항 거부 등 세 가지를 명령한 바 있다. 박 기장은 노조 교선실장이다.

박 기장은 조종석이 아닌 승객 좌석에 앉아 귀국했고 대한항공은 박 기장을 운항본부로 대기발령했다.

대한항공은 대기발령에 대해 "이번 상황이 노조 집행부의 조직적 지시에 의해 인천공항 출발 전 사전 의도된 내용인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며 "마닐라 도착이 늦어진 것은 박 기장이 통상 25분 내외로 끝나는 사전 비행브리핑을 1시간 이상한 것도 원인"이라고 반박했다.


관련기사



박재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