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 쿠웨이트서 3조 수주

가스公과 협력 대형플랜트 따내

중동 수주가뭄 해소 물꼬 기대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인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이 쿠웨이트에서 3조원이 넘는 대형 가스플랜트 시설 공사를 수주했다. 해외공사 수주 가뭄이 이어지다가 따낸 일감으로 공기업과의 민관 협력과 그룹사 간 동반진출이 이뤄낸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은 7일 쿠웨이트 국영정유회사(KNPC)가 발주한 29억3,000만달러(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쿠웨이트 알주르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터미널' 프로젝트를 한국가스공사와 함께 수주했다고 밝혔다.

현대엔지니어링이 주간한 이 공사의 지분은 현대건설 15억2,000만달러(약 1조8,500억원), 현대엔지니어링 13억9,000만달러(약 1조7,000억원), 한국가스공사 1,600만달러(약 200억원) 등이다.

알주르 LNG 수입 터미널 공사는 쿠웨이트 수도 쿠웨이트시티에서 남쪽으로 90㎞ 떨어진 알주르 지역에 하루 30억㎥의 가스를 액화 처리하는 재가스화(regasification) 시설과 22만5,000㎥ 규모의 LNG 저장탱크 8기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현대건설은 이 가운데 LNG 저장탱크와 해안 접안시설 공사를, 현대엔지니어링은 재가스화 플랜트 건설을 각각 담당한다. 시운전과 발주처 운전교육은 한국가스공사에서 맡게 된다. 공사기간은 착공 후 58개월로 오는 2020년 준공 예정이다.

정수현 현대건설 사장은 "이번 공사 수주에는 지난해 3월 박근혜 대통령의 쿠웨이트 등 중동 순방 시 펼친 경제외교가 큰 도움이 됐다"며 "LNG 인수기지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관리·운영 기술을 보유한 한국가스공사와 동반 수주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LNG 인수기지 분야의 기술력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저유가 여파로 중동 지역 수주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사의 기술력을 접목해 양질의 공사를 따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이번 공사를 계기로 중동 지역 및 이란 건설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건설 업계는 이번 수주가 연초 중동 지역의 극심한 수주 가뭄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들어 이달 현재까지 해외건설 수주액은 총 50억5,752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수주한 110억3,000만달러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해외건설협회 관계자는 "앞으로 이란 경제제재 해제에 따른 인프라 공사와 석유·가스 플랜트 등 신규 수주도 기대되고 있다"며 "쿠웨이트 공사 수주를 통해 꽉 막혀 있던 해외건설 수주에 어느 정도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