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창업하는 데도 정규직과 비정규직 차별”

“창업에도 정규직과 비정규직 차별하다니”


“공공기관에서 계약직으로 근무하다 창업을 하려고 했더니 창업지원에 대해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차별이 너무 큽니다. 정규직 직원들은 2~3년 후에 학교나 다른 곳으로 이직하는 분들이 많은데 오히려 지원은 더 많이 받습니다.”

관련기사



14일 고용노동부와 미래창조과학부, 청년위원회 주관으로 대전시청에서 열린 ‘대전ㆍ충남권 청년일자리 토크콘서트’에 참가한 예비창업자 A씨가 창업을 준비하는 애로사항을 털어놨다. 정부 출연 연구원에서 5년간 비정규직으로 근무한 A씨는 “계약직으로 일하면 정규직 전환비율도 낮은데 창업지원책도 대부분 정규직에만 해당된다”고 하소연했다. 대표적으로 정규직 직원은 창업에 실패해도 3년 내에는 다시 돌아오는 게 가능하지만 비정규직은 해당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저도 정규직으로 근무하다 학교로 간 케이스라 얼굴 들기가 죄송하다”며 “이 문제를 꼭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창업은 취업의 대안이 아니라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는 선택”이라며 “졸업을 앞두고 취업과 창업에 대해 고민을 하는 데, 보다 일찍 시작하면 훨씬 많은 기회가 찾아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자리에 참석한 100여명의 학생들은 직무능력표준(NCS) 채용을 준비하는 어려움, 취업 정보 찾는 데 애를 먹는 부분, 지역인재 채용 확대 등 다양한 일자리 걱정을 털어놨다. 이와 관련해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공기업과 대기업뿐 아니라 중견기업도 최소한 채용설명회를 각 지역에서 개최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는 자신의 강점을 특화시키고 전문화해 실용주의 지식을 쌓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전=황정원기자 garden@sed.co.kr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