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이주열 한은 총재 “고용안정은 경제정책의 지향점”

경제동향간담회 “기술변화 대응하려면 교육제도 획기적으로 변해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경제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지향점으로 고용안정을 꼽았다.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서울시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지난달 고용통계를 언급하며 “우리 사회가 고용통계에 주목하는 것은 고용안정이 경제주체들의 후생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지난달 청년실업률은 12.5%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는 “2월 통계는 설 연휴 이동과 공무원 채용시험 등 특이요인에 따른 영향도 일부 작용했다”면서도 “많은 중앙은행들이 고용안정을 명시적 또는 암묵적 정책목표로 설정할 만큼 정책 결정 시 중요한 고려 요소로 삼는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최근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4차 산업혁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술변화 속도가 예상을 뛰어넘어 빨라지고 있어 하루빨리 미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우리 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시스템 변혁이 필요하다”며 “특히 교육제도가 획기적으로 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총재는 “현재의 교육체계는 현존하는 직업군에서 필요로 하는 지식을 단순히 전달하는 방식으로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키우는 데는 많은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육 제도가 어떠한 환경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도록 창조적 사고능력을 키워 새로운 직업을 스스로 발굴하는 능력을 배양하는 방향으로 개편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곽노선 서강대학교 교수, 배현기 하나금융경영연구소장,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부회장, 장용성 연세대학교 교수, 정지만 상명대학교 교수, 차문중 삼성경제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

/김상훈기자 ksh25th@sed.co.kr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