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경제부처 장관들 재산 평균 10억원…1위는 임종룡 금융위원장

임종룡 금융위원장 20억원 최고·정재찬 공정거래 위원장 3억원 최저

세종정부청사 전경./서울경제DB세종정부청사 전경./서울경제DB


경제부처 장관들의 평균 재산은 부동산과 금융자산 등을 포함해 10억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25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공개한 ‘2016년도 정기재산변동사항 공개목록’을 보면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국토교통부·공정거래위원회·금융위원회 등 7개 경제부처 장관들의 평균 재산은 10억5,000만원 가량인 것으로 집계됐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경제부처 장관 가운데 가장 재산이 많았다. 임 위원장은 지난해 말 기준 재산 총액을 20억4,000만원으로 신고했다. 전년에 비해 1억4,000만원 증가했다. 임 위원장은 국무총리실장 신분이었던 3년 전(16억6,000만원)과 비교해서도 재산이 4억원 가량 늘었다.

관련기사



반면 경제 민주화를 이끄는 부처 수장인 정재찬 공정거래위원장의 재산은 3억6,805만원에 불과해 경제부처 장관들 가운데 가장 작았다. 정 위원장은 서울 잠실의 아파트 등 9억7,600만원 상당의 부동산과 본인과 배우자 예금 8,929만원을 소유하고 있다. 하지만 금융 채무가 7억661만원에 달해 재산 규모가 작았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총괄하는 국토부의 강호인 장관의 재산(15억5,000만원)은 경제부처 장관 중 두 번째로 많았다. 1년 전과 비교해서는 2,400여만원 증가했다. 지난해 11월 취임한 강 장관과 배우자는 카카오 등의 보유 주식을 매각대금을 저축해 예금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의 재산은 8억3,287만원으로 전년보다도 1,676만원이 줄었다. 본인 소유의 서울 송파구 아파트 전세임차권과 중구 아파트, 송파구 사무실 전세임차권 등이 10억6,000만원 가량이고 2,200만원 상당의 동양화 3점 등도 보유하고 있다. 다만 본인과 배우자, 장남의 채무가 9억842만원에 달했다. 주형환 산업부 장관의 신고액은 5억4,568만원으로 2,184만원 줄었다. 주 장관은 채무 상환과 자녀 학비 지출 등으로 예금액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김영석 해수부 장관은 4억7,104만원의 재산을 신고했고 국가 농식품 정책을 책임지는 이동필 농림부 장관은 전년보다 2,636만원 증가한 15억3,163만원의 재산을 보유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