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휴양, 열섬완화...숲의 공익적 가치는 126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 공익기능 평가

2010년보다 15.4% 증가

1명당 연간 249만원 혜택인 셈





우리나라 산림의 공익적 가치가 지난 2014년 기준으로 12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014년 기준 산림 공익기능 평가’ 결과 지난 조사인 2010년 기준 평가액 109조원보다 15.4%(17조원) 증가했다고 30일 밝혔다.

최초로 산림 공익기능을 평가한 1987년의 17조7,000억원에 비해서는 약 7배 증가한 수치다.

이 같은 산림의 공익적 가치는 국내총생산(GDP)의 8.5%, 농림어업 총생산의 4배, 임업 총생산의 65배, 산림청 예산의 67배에 달하며 국민 1명당 연간 249만원의 산림 혜택을 받는 규모다.


항목별로는 ‘토사유출 방지 기능’이 총평가액의 14.4%인 18조1,000억원을 차지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숲으로 여행해 휴식을 제공해주는 산림 휴양이 17조7,000억원(14.1%), 숲 속에 물을 저장하는 수원 함양이 16조6,000억원(13.2%), 주택 가격에 반영된 산림 경관 속성가치를 평가한 산림 경관이 16조3,000억원(13.0%)으로 각각 분석됐다.

관련기사



또 인간이 숨을 쉬는데 필요한 산소를 생산하는 산소 생산 기능이 13조6,000억원(10.8%)이었고 숲이 가지는 유전자·종·생태계 보전을 평가한 생물 다양성 보전 기능이 11조1,000억원(8.8%), 숲이 물을 맑게 해주는 산림 정수 기능이 9조9,000억원(7.9%)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처음 평가된 도심 속 ‘열섬 완화’ 기능은 1조1,000억원으로 추산됐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번 평가에서 △수원 함양 △산림 정수 △토사유출 방지 △온실가스 흡수 △대기 질 개선 △산소 생산 △산림 휴양 등 기존 11개 기능에 △열섬 완화 기능을 추가해 총 12가지 산림 기능을 평가했다. 또 온실가스 흡수 기능에 국산 목재제품 탄소저장 항목을 추가해 평가했다.

남성현 국립산림과학원장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 기능, 산림 복지와 관련한 산림 휴양·치유 기능에 대한 국민 요구가 높다”면서 “다양한 산림 공익 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숲 가꾸기와 수종 변경 등 산림을 계획적으로 경영·관리하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co.kr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