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정부, 올해 5G·스마트자동차 등에 1조원 투자

미래부, '2016년도 미래성장동력 실행계획' 확정

5G, 웨어러블 등 법·제도 개선 및 시범사업 지원

AI·센서기술 등 핵심 공통기술 지원…융합산업 생태계 조성

정부가 5세대(5G) 이동통신·스마트자동차 등 미래 성장동력 성과창출을 위해 올해 약 1조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한다는 목표다.

30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16년도 미래성장동력 실행계획’을 제8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 미래성장동력특별위원회에서 심의·확정했다.

미래성장동력 종합실천계획은 작년 5월 각 부처가 추진 중인 육성계획을 종합해 수립됐다. 2020년까지 5조6,000억원을 투자, 2024년 수출 1,000억달러 규모의 신산업을 육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2016년 실행계획은 성장동력의 조기 성과창출에 역점을 뒀다. 5G 이동통신, 착용형이동통신기기(웨어러블) 등 산업화 속도가 높은 분야는 민간의 시장창출을 촉진하기 위해 법·제도 개선 및 시범사업 추진 등 지원에 집중한다.

관련기사



또 미래성장동력 각 산업 분야에 핵심적인 공통기술(인공지능, 센서기술 등) 개발을 지원해 신제품·신서비스가 활발히 창출되는 융합산업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아울러 연구개발(R&D) 세액공제 대상(현재 75개)에 새롭게 부각되는 미래성장동력 관련 기술을 추가하고, 성장동력 진출기업에 정책자금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산업은행·기업은행·중진공 등 정책금융기관에 제공할 예정이다.

손욱 미래성장동력특별위원회 위원장은 “미래 먹거리를 만들기 위한 사업 아이템들의 성과가 조기에 가시화되려면 정부와 민간이 긴밀한 협력해야 한다”며 “미래성장동력이 일자리 창출로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주고, 경제발전을 견인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권용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