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포퓰리즘 정책 대신 법인세 유지·경제관련 법안 처리해달라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20대 총선 공약 이행을 위한 재원조달 방안을 발표하면서 과세표준 500억원을 초과하는 대기업 법인세를 현행 22%에서 25%로 3%포인트 높이겠다고 밝혔다. 대기업에 대한 세금인상 방안을 들고 나온 것이다. 법인세율 인상만으로도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4조1,000억원씩 20조5,000억원의 추가 재원조달이 가능하다는 게 더민주의 판단이다.


기업들의 생각은 어떨까.

기업들은 되레 법인세를 낮추거나 최소한 현상유지를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경제신문의 설문 조사를 보면 총선을 앞두고 야당에서 나오는 법인세 인상안과 관련해 법인세율 조정폭을 물어본 질문에 응답기업의 62.2%는 ‘현 수준 유지’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1~2%포인트 인하’가 있어야 한다는 기업은 22.2%로 두 번째로 많았고 ‘3%포인트 이상 인하’를 고른 업체도 13.3%에 달했다. ‘1~2%포인트 인상’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2.3%로 미미했다. 그만큼 기업들 입장에서는 총선 이후 불거질 수 있는 법인세 인상을 통한 복지재원 마련을 걱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인세 인상→경영환경 악화→국제 경쟁력 약화→고용축소’라는 악순환을 고민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철강과 조선, 해운은 공급과잉에 시달리고 있고 전자와 자동차, 전기차 같은 분야에서도 중국 업체의 추격이 거센 탓이다. 바이오 분야에서도 싱가포르 같은 경쟁국에 비해 세제혜택이 적다는 게 재계의 불만이다.

관련기사



선거를 전후해 투자 활성화와 기업가 정신을 고양하기 위해서는 ‘세제혜택 등 지원책 강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응답이 33.3%로 1위였다. 법인세 인상과 관련해 절반 이상의 기업이 최소한 현 수준을 유지해야 하고 기업 3곳 가운데 1곳은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재계의 고위관계자는 “일각에서는 법인세 인상을 통해 기업에서 돈을 마련하면 된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투자와 고용축소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기업 경쟁력도 약해질 수 있는데다 다른 나라에 비해 경영환경이 나빠지면 국내 기업들은 설 자리를 잃게 된다”고 우려했다.

세제지원책 다음으로는 경제법안 처리를 꼽은 기업이 26.7%로 많았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19대 국회에서 발의된 법안 1만7,752건 가운데 지난 24일 현재 7,129건이 처리돼 법안 가결률은 40.2%에 불과하다. 이는 15대(73%)와 16대(63.1%)), 17대(51.2%), 18대(44.4%)와 비교해 가장 낮다. 1개 법안당 평균 처리기간도 517일에 달해 역대 국회 중 가장 길었다. 국회가 현 경제상황을 위기로 보지 않는 것 같다고 보는 기업들이 많이 나오는 이유다. 재계가 경제 관련 법안처리에 목을 맬 만한 이유가 있는 셈이다.

‘반기업 정소 해소’가 필요하다는 답도 17.8%나 됐다. 조사 때마다 빠지지 않고 나오는 ‘수도권 규제 등 각종 규제완화’는 15.6%였고 ‘정치문화 개선’이 필요하다는 답도 6.6%에 달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