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따뜻한 지역 살면 살찔 가능성 높아

서울성모병원 국내 최초 비만과 기온 상관관계 밝혀

연평균기온 높은 지역, 비만 위험 1.045배 높아

사는 지역의 연평균 기온이 비만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이승환·양혜경 내분비내과 교수)은 2009∼2010년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서 추출한 12만4,354명과 1981∼2010년까지 기상청 관측소 71곳의 기온 자료를 토대로 비만과 연평균 기온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진은 비만을 체질량지수 25㎏/㎡ 이상, 복부비만은 허리둘레가 남성 90㎝ 이상, 여성 85㎝ 이상으로 정의했다. 선정된 지역의 연평균 기온 범위는 6.6∼16.6℃였다.

그 결과 연평균 기온이 높은 곳에 거주하는 사람은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 치수가 높았고, 그에 반해 1년 중 기온이 0℃ 미만인 날이 많은 지역에 있는 사람은 허리둘레 수치가 낮았다.


나이·성별·흡연·음주·운동·수입 등 비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을 보정 후 분석해봐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연평균 기온이 가장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은 기온이 낮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해 비만 위험도가 1.045배, 복부비만 위험도가 1.082배 높았다.

관련기사



특히 0℃ 미만인 날이 가장 적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복부비만 위험도는 기온이 0℃ 미만인 날이 많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 비해 1.063 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승환 교수는 “기온이 비만 유병률에 적지만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국내에서 처음 증명한 사례”라며 “추위에 노출되면 체지방을 태워주는 역할을 하는 ‘갈색지방’의 변화와 더불어 에너지 대사가 증가하기 때문에 체질량지수 및 복부비만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양혜경 교수는 “최근 미국 및 유럽에서 실내외 기온과 비만의 유병률에 대한 조사가 있었으나, 연구에 따라 다른 결과들을 보여줬다”며 “연평균 기온이 매우 낮거나 높은 경우 오히려 상관관계가 역전된다는 연구결과도 있으므로 연구를 수행한 지역의 연평균 기온 범위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 최신호에 게재됐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