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오바마-시진핑, 사드 배치 놓고 설전 주고받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3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되는 제4차 핵안보정상회의에서 양자 정상회담을 갖는다. 이날 열리는 정상회담의 최대 의제는 북핵 문제다.

일단 양국 정상은 지난 2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채택된 대북 제재 결의안의 차질 없는 이행에 합의할 것으로 보인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앞서 30일 정례 브리핑에서 “양국은 한반도 정세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북한 정권을 고립시키고 추가 압박을 가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오바마 대통령도 “국제사회가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 대응해 단결해야 한다”고 밝혀 ‘중국 역할론’을 주문했다. 시 주석도 미국과 함께 유엔 결의안 채택 과정을 주도한 만큼 제재안의 성실한 이행을 다짐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오바마 대통령은 동해상으로 단거리 미사일 발사, “청와대 타격” 위협 등 동북아 안정을 위협하는 북한에 대해 중국이 더 많은 압력을 행사하라고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양국 정상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의 한반도 배치, 북·미 간 평화협정 체결 등 민감한 현안을 둘러싸고 설전을 주고받을지 관심거리다.


반면 시 주석은 “북한과의 대화와 협상도 중요하다”며 6자회담의 틀 안에서 비핵화를 논의하자고 맞불을 놓을 것으로 보인다. 전날에도 미국과 중국은 사드 배치를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나아가 시 주석이 각각 한국, 미국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유엔 제재안에 대해 물타기용으로 내놓은 평화협정 체결의 필요성을 언급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관련기사



또 양국 정상은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대만에 대한 중국의 위협, 중국의 위안화 평가절하와 인권 문제, 사이버테러와 지적재산권 침해, 중국 통신업체인 ZTE에 대한 미국의 제재 등을 놓고도 지난해 9월 양자회담 때와 마찬가지로 격론을 주고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선임보좌관도 “미국은 양국 간 차이를 숨기거나 적당히 넘어가지 않을 것”이라며 전운을 예고했다. 다만 양국이 기후변화, 글로벌 경제 등에 대해 협력이 절실한데다 정면충돌은 공멸을 의미하는 만큼 향후 갈등을 관리할 수 있는 공조체제 마련에 의견을 같이할 것으로 전망된다.

/뉴욕=최형욱특파원 choihuk@sedaily.com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