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기아차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기아차 노조는 이 같은 내용의 투쟁지침을 전달하고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된 세부 시행방안을 합의할 때까지 잔업과 주말 특근 거부에 돌입했다.
기아차 노사는 지난 2012년부터 2조 2교대의 ‘8시간+9시간’ 근무형태를, 1시간 줄어든 ‘8시간+8시간’으로 바꾸기 위한 논의를 진행해왔지만 세부 시행방안을 두고 노사가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1월부터 ‘8+8 근무형태변경 추진위원회’가 구성돼 실무회의 1회와 본회의 3회를 열었지만 지난달 30일 노조는 정회를 선언하며 협상을 중단했다.
이와 관련, 1시간 단축할 경우 연간 9만4,000대 분량의 생산이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측에서는 될 수 있는 대로 임금이 삭감되지 않으면서 근로시간을 줄이려면 단협상 휴일을 근무일로 조정하거나 조합활동시간 축소 등으로 작업시간 확보 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를 통해 4만1,000대 분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사측에서는 시간당 생산 대수(Unit per hour·UPH)를 4.3% 정도 높이면 같은 시간에 5만3,000대가량 더 생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대차의 경우에도 이 같은 방안과 유사하게 합의해 지난 1월부터 ‘8시간+8시간’으로 근무 형태를 변경했다.
하지만 노조 측에서는 노동강도 강화, 고용불안, 임금삭감을 모두 용인할 수 없다고 주장해 논의가 진전되지 못하는 상태다. 민주노총 산하의 기아차 노조는 조합원 수만 2만8,000여명이다. 이번 잔업·특근 거부로 작업을 중단하게 되는 인원은 원청 근로자 1만1,300여명, 사내 하청 근로자는 1,600여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애꿎은 사내 하청 근로자들은 논의도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근로시간이 줄어 임금손실 피해를 보게 되는 것이다.
특히 기아차의 경우 단체협약이 지나치게 경직됐다는 지적이다. 기아차는 전환배치시 노조의 동의를 구해야만 가능하도록 단협에 규정됐다. 더불어 신차 프로젝트 개발이나 UPH 조정시 조합에 통보하고 노사 의견이 일치돼야 시행하도록 했다.
한편 기아차는 지난해 매출액은 49조5,214억원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2조3,543억원으로 8.5% 감소했다.
임서정 고용부 노사협력정책관은 “10% 기득권을 가진 대기업 근로자들이 사내 하청이나 다른 사람들을 배려해야 하는 고민을 하면서 단체협상을 시행해야 하는데 단체협상도 아니고, 별도 논의를 통해 하기로 한 부분을 무리한 집단적 잔업 거부로 들어가게 돼 대단히 유감스럽다”면서 “지방 관서를 통해 전달하고 고칠 수 있는 부분들은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황정원기자 garde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