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뉴욕증시]글로벌 경제 둔화 우려에 하락

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국제유가 반등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제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33.68포인트(0.75%) 하락한 1만7,603.3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20.96포인트(1.01%) 떨어진 2,045.17에, 나스닥 종합지수는 47.87포인트(0.98%) 낮은 4,843.93에 장을 마감했다. 다우지수가 100포인트 이상 하락한 것은 지난 3월 10일 이후 처음이다.


이날 발표된 유럽 경제 지표가 악화되는 등 주요국 성장 우려가 커진 게 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시장조사업체인 마르키트에 따르면 3월 유로존의 종합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는 53.1로 예비치 53.7에서 하향 조정됐다. 독일의 2월 제조업 수주는 전월 대비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0.3% 증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그 여파로 범유럽지수인 Stoxx600 지수는 1.90% 급락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2.63%,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2.18% 내림세를 나타냈다. 이날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세계 경제 성장의 하방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발언한 것도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업종별로는 유틸리티업종이 2% 가까이 하락하며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금융, 헬스케어 업종이 각각 1.4%와 1.2% 떨어졌고, 기술업종도 1% 넘게 하락하는 등 전 업종이 내림세를 나타냈다. 다우지수 구성종목 중에서도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을 비롯해 JP모건과 골드만삭스가 각각 1% 넘게 떨어졌다. 앨러간은 미 재무부가 기업의 세금회피 방지 법안을 발표한 데 따라 14% 급락세를 나타냈다.

관련기사



글로벌 경기 부진에 2월 미국 무역적자는 6개월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미 상무부는 2월 무역적자가 전월 대비 2.6% 늘어난 470억6,000만달러(계절 조정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문가 전망치인 462억달러를 웃도는 것이다.

서비스, 고용 지표가 호조를 보였지만 얼어붙은 투자 심리를 되돌리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공급관리협회(ISM)는 3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전월의 53.4에서 54.5로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준이다. 비록 느리기는 하지만 미국 경기 회복세에 힘입어 미국 기업들의 채용도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 고용 및 이직 보고서(JOLTS)’에 따르면 기업들의 신규 구인은 544만5,000명으로 1월의 560만4,000명보다는 감소했다. 시장 전망치인 557만명에도 못 미쳤지만 지난해 7월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최근 2주간 하락세가 지속되던 국제 유가는 쿠웨이트 정부가 이란 참여 없이도 주요 산유국들의 산유량 동결 합의가 도출될 수 있다고 발언한 데 힘입어 소폭 반등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배럴당 19센트(0.5%) 오른 35.89달러에 마쳤다. 나왈 알 푸자이어 쿠웨이트 석유부 경제국장은 “이란이 참여하지 않더라도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가 산유량 동결에 동참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뉴욕=최형욱특파원 choihuk@sedaily.com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