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독신가구 소비지출 60대 이상에서 급격히 감소

독신 가구의 소비 지출이 나이가 들수록 줄어들며 60대에 접어 들어서는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9일 국민연금연구원 성혜영·이은영 연구진은 ‘생애주기별 소비 및 저축실태 분석에 따른 노후준비 전략’이란 연구보고서에서 2014년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활용해 독신가구의 소득변화와 소비지출 실태를 살펴보니,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분석한 독신가구는 1인 단독가구다. 20~30대를 30대 이하 가구로, 80~90대를 80대 이상 가구로 해서 30대 이하, 40대, 50대, 60대, 70대, 80대 이상의 총 6단계로 독신가구를 구분해 생애주기별 소득과 소비실태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독신가구의 경상소득은 30대 이하(월 210만3,000원)에서 40대(월 263만4,000원)로 이행하면서 조금 늘다가 50대(월 194만9,000원)부터 줄기 시작해 60대(월 110만원)는 50대의 절반수준(56%)으로, 70대(월 82만5,000원)를 거쳐 80대(월 55만7,000원) 이상은 50대의 28% 수준으로 급감했다.

관련기사



총 소비지출액 역시 30대 이하(월 141만9,000원)에서 40대(월 148만원)로 옮겨가면서 다소 늘다가 50대부터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줄며 특히 50대에 월 120만3,000원이던 총 소비지출액이 60대에는 월 84만원으로 50대의 70% 수준으로 떨어지고, 70대에는 월 67만8,000원으로, 80대 이상에서는 월 51만4,000원으로 크게 줄었다.

연구진은 또한 독신가구의 소비생활에서 차지하는 주요 소비항목은 노년기 이전에는 식료품과 주거·수도광열비, 음식·숙박비 중심에서 노년기 이후에는 식료품과 주거·광열비, 보건비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