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스크린도어 안전보호벽 개선 어쩌나…"

지하철 승객의 추락 방지 역할을 하는 스크린도어 사이의 시설물인 ‘스크린도어 안전보호벽’을 유사시 비상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선하라는 국토교통부의 요청에 서울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현재 대부분 역에서 광고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안전보호벽을 국토부의 지침에 따라 개선 조치에 나설 경우, 수백억원의 설치 비용과 기존 광고 수익을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10일 서울시에 따르면 국토부는 지난해 5월 서울시에 스크린도어 안전보호벽을 비상개폐가 가능하도록 개선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국토부는 공문에서 “열차 화재 등 비상 상황 발생을 대비해 안전보호벽의 비상개폐가 가능하도록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공문을 받은 서울시는 국토부의 요구에 따라 지난 9월 3호선 홍제역과 독립문역, 5호선 양평역을 대상으로 안전보호벽 개선 시범사업에 들어간 상태다.

관련기사



서울시의 고민은 비용이다. 오는 7월 국토부의 용역 결과가 나오면 개선이 급한 18개 역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개선에 들어가야 하는 상황에서, 시내 모든 지하철역 스크린도어 안전보호벽의 광고판을 떼고 비상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선하는데 드는 비용만 약 500억원 이상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서울시 지하철 1∼4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메트로(121개 역에 광고시설 설치)와 5∼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도시철도공사(145개역에 광고시설 설치)가 광고를 통해 얻고 수입(메트로 연 99억6,000만원, 도철 연 25억원, 2015년 기준)도 포기가 불가피하다. 6조원 이상의 누적부채에 시달리는 지하철 양 공사에게는 적잖은 부담이다.

국비 지원이 논의되고 있지만, 지원 규모를 두고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서울시는 적어도 개선 비용의 40%는 국비로 해야 한다는 의견이지만, 국토부는 40억원 밖에 지원해줄 수 없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지하철을 운영하는 다른 지자체들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현재 전국 9개 지하철 운영기관이 관리하고 있는 758개 역사 중 스크린도어 시스템을 운영하는 역은 전체의 67.9%인 515개역이며, 이 중 454개역이 안전보호벽을 광고 목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