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물건너간 김종인 '합의추대說'...더민주 당권경쟁 격화

당내 부정적 여론 높아져

이해찬 복당 신청서 제출

金대표 수용 여부 주목

문재인(왼쪽)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홍걸(가운데) 당 국민통합위원장이 19일 오후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왼쪽)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홍걸(가운데) 당 국민통합위원장이 19일 오후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 있는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제기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의 ‘합의추대설(說)’이 사실상 물 건너갈 가능성이 커졌다. 친노와 비주류를 막론하고 부정적인 여론이 득세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문재인 전 대표와 김종인 대표 간의 차기 당권을 둘러싼 경쟁도 점점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친노·운동권 출신인 정청래 의원은 19일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셀프 공천도 문제지만 셀프 합의 추대라는 게 가능한 일인가. 북한 노동당 전당대회에서나 가능한 일”이라며 “합의 추대는 100% 불가능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범친노계인 김진표 당선자 역시 “이번 선거 결과의 엄중함을 고려해 당내 중론이 모아지면 추대도 가능하다는 의견도 있지만 근본 원칙은 어려울수록 정도로 가야 한다”며 “추대를 하더라도 전당대회를 거치는 것이 정도”라고 지적했다. 김종인 대표와 가까운 박영선 의원도 지난 18일 “(당 대표 경선과 합의 추대는) 모두 일장일단이 있기 때문에 여론을 조금 더 들어보고 현명한 선택을 해야 한다”며 “(김종인 대표 외에도) 당 대표 후보군이 몇 분 더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김종인 대표를 차기 당 대표로 합의 추대하는 방안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높아지면서 문재인 전 대표와 김종인 대표 간 차기 당권경쟁은 점점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특히 이번 총선에서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이해찬 의원은 이날 복당신청서를 제출했는데 이해찬 의원을 공천과정에서 탈락시킨 김종인 대표가 수용 여부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는 점도 계파갈등의 또 다른 불씨가 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가운데 문재인 전 대표는 연일 현장행보를 이어가며 4·13 총선 전에 내뱉은 정계은퇴 발언을 번복하고 대권 주자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모습이다. 문재인 전 대표는 전날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생가를 찾은 데 이어 이날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 있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했다.

더민주의 한 관계자는 “문재인 전 대표의 연이은 ‘방문 정치’는 호남과 부산경남(PK)을 아우르는 야권의 적자(適者)는 자신뿐임을 유권자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한 포석”이라고 설명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