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일반고 학생에 '과목선택권'

개방·연합형 종합캠퍼스 도입

문·이과 체제 탈피 학교간 협력

2학기부터 교육과정 시범 운영

서울의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기존의 문·이과 체제에서 탈피해 다양한 관심사를 반영한 과목을 자유롭게 선택해 듣는 길이 열렸다.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2학기부터 일반계 고교를 대상으로 시범학교를 지정해 ‘개방·연합형 종합캠퍼스 교육과정’을 도입한다고 19일 밝혔다.

개방형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교과목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롭게 과목을 선택하는 게 특징이다. 대학 진학을 위한 보통교과 중심 이외에 예체능 교과, 실용·직업기능, 자유교양과정 등의 개인별 과정을 선택할 수 있다.


학교연합형은 단위학교에서 개설하기 어려운 교과목이나 특성화된 중점과정을 학교 간 협력을 통해 공동 운영하는 방식이다. 가령 A고등학교가 영화 과목을 개설하면 주변 학교들에서 이를 듣고 싶어 하는 학생들이 A학교로 이동해 수업을 들을 수 있게 된다.

관련기사



교육청은 문·이과 과정 없이 개방적으로 다양한 진로를 탐색하도록 최소 5개 과목 이상(15단위 이상)을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할 방침이다. 올해 2학기부터 시범학교를 지정해 운영한다. 이를 위해 △블록타임 수업 △유휴교실 확보 △교과교실 정비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근표 서울교육청 교육정책국장은 “일반고에는 다양한 진로 희망을 품은 학생들이 있지만 현 교육과정 체제로는 이런 다양한 요구를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며 “이번에 도입하는 교육과정은 잠자는 학생을 깨워 의욕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이끄는 실질적인 대책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진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