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더민주 토론회, '호남 총선 평가: 성찰과 대안' 평가 이어져…

4·13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호남 참패는 그동안 더민주가 호남에서 누린 기득권과 ‘친노 패권주의’에 대한 반감, 지도부의 전략적 부재·실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문재인 전 대표의 호남 방문에 대해서는 지지층을 결집했다는 평가와 불리한 판세를 더 기울게 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당 민주정책연구원과 강기정·홍종학 의원은 2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호남 총선 평가: 성찰과 대안’을 주제로 토론회를 진행했다.

발제를 맡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뷰의 안일원 대표는 “호남에서 더민주의 정치적 구태와 호남 홀대론이 시너지를 일으키며 호남에서 반노무현, 반문재인, 반더민주에 대한 여론이 고착됐다”고 말했다.

광주·전남의 유일한 당선인인 이개호(담양·함평·영광·장성) 의원은 “호남 유권자는 우리를 야당으로 보지 않는다. 우리는 기득권 세력이고 그에 대한 반발 심리가 광범위하다”라고 밝혔다.

문재인 전 대표의 호남 방문에 대한 평가도 이어졌다.

오승용 전남대 연구교수는 “문 전 대표가 대선 불출마와 정계은퇴라는 묵직한 화두를 던지면서 문 전대표에 대한 신임으로 선거 구도가 단순화됐다”고 말했다.

반면 김윤철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는 “문 전 대표의 호남 방문은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특히 수도권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며 “유력한 대선후보로 책임을 다하려는 모습으로 비쳤다”고 전했다.


지도부가 제대로 된 선거 전략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원성도 제기됐다.

관련기사



전주병에서 낙선한 김성주 의원은 김종인 대표에 대해 “셀프공천 논란과 비례대표 공천 혼란, 국보위 참여 전력 때문에 오히려 (지원유세를) 올 때마다 공격의 단골소재가 됐다”라고 전했따.

그는 문 전 대표에 대해서도 “호남에 오냐 안 오냐의 논란이 친노패권 프레임을 강화시켰다”고 언급했다.

재선에 실패한 신정훈(전남 나주·화순) 의원은 “반문재인 정서는 기본적인 상수였지만 이것을 구조적으로 고착한 것은 새 지도부가 민주성을 상실하고 기존 지도부의 패권적인 모습을 보여줬기 때문”이라며 “결정적으로 셀프공천 과정에서 김종인 지도부에 대한 실망이 고착된 것 같다”고 말했따.

지도부가 호남 없이는 정권교체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호남을 포기해서는 안된다는 목소리도 더해졌다.

공천에서 배제된 강기정(광주 북구갑) 의원은 “당 지도부는 호남을 그냥 놔두다가 대선을 앞두고 국민의당과 합당, 국민의당을 호남 시·도당으로 전환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민병두 민주정책연구원장은 인사말에서 “안철수 대표가 내년 대선에서 진다고 해도 첫 출마라 재기를 노리며 국민의당이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며 “결국 호남을 재탈환하는 게 우리의 숙제다”라고 전했다.

또 국민의당의 새누리당과 연립정부 가능성에 대해서는 “박근혜 정부의 실패를 동반 책임져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그런 정치적 실수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