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기업

한수원, 한빛원전 온배수열 활용사업 MOU 체결

한국수력원자력은 4일 한빛원자력본부 홍보관에서 전라남도 및 영광군과 원자력발전소 온배수열 활용사업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조석(왼쪽) 한수원 사장이 이낙연(가운데) 전남도지사, 김준성 영광군수와 협약식 체결 후 사진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수원한국수력원자력은 4일 한빛원자력본부 홍보관에서 전라남도 및 영광군과 원자력발전소 온배수열 활용사업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조석(왼쪽) 한수원 사장이 이낙연(가운데) 전남도지사, 김준성 영광군수와 협약식 체결 후 사진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제공=한수원




한국수력원자력은 4일 한빛원자력본부 홍보관에서 전라남도 및 영광군과 원자력발전소 온배수열 활용사업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조석 한수원 사장, 이낙연 전남도지사, 김준성 영광군수 등이 참석했다.

온배수란 원자력·화력발전소 등의 발전기 냉각에 사용되고 난 후의 따뜻한 물을 뜻한다. 토마토·난 등을 재배하는 온실난방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수원은 온배수를 활용하면 원예농가 광열동력비의 70~80%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라별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과한 신기후 체제에서 온배수 활용은 저렴한 에너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한수원 측은 설명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파리 협약 이후 정부는 학교 태양광 설치, 전기차 충전소 구축 등 에너지신산업 10대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관련기사



한수원도 에너지신산업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온배수열 활용 외 발전소 사택 태양광 발전, 전기차 운영시스템 구축 등 10대 프로젝트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한수원은 정부의 10대 프로젝트 외에도 자체적으로 신재생사업을 발굴해 신기후 체제를 대비하고 있다. 향후 4~5년간 약 1조원의 투자를 통해 연료전지 사업 등 7개 아이템을 추진한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한수원은 2015년에 신재생에너지 의무 공급량(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RPS)을 달성했다.

조석 한수원 조석 사장은 “온배수 활용으로 농어민의 소득증대와 일자리 창출을 기대한다”며 “향후 다양한 신에너지 사업으로 신기후체제 대비는 물론 지역 상생을 통한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박홍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