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미리보는 서울포럼2016] 권세창 "의약품=공공재 인식 벗어야 혁신 가능하다"

바이오세션 강연 권세창 한미약품 연구센터장

신약개발 '약 전달방식' 발상의 전환

'한국형 R&D'가 한미약품 성공 비결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성장하려면

벤처와의 '개방형 생태계' 만들어야

기업 신약개발 도전여건 조성을

권세창 한미약품 연구센터장권세창 한미약품 연구센터장




“한미약품은 ‘약 전달 방식’에 주목하는 발상의 전환으로 기술 수출의 성과를 거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혁신 신약까지 개발하는 ‘한국형 연구개발(R&D)’을 계속 이어나갈 것입니다.”

지난해 사노피·얀센·베링거인겔하임 등 세계적인 제약사를 상대로 6조원대 신약 기술 수출 계약을 맺은 한미약품은 국내 제약 업계의 ‘성공 신화’를 써내려가고 있다. 하지만 성공은 하늘에서 갑자기 떨어지지 않는다.


‘서울포럼 2016’의 둘째 날 ‘바이오신약&바이오시밀러’ 세션에서 연사로 나서는 권세창(사진) 한미약품 연구센터장(부사장)은 서울경제신문과 가진 사전 인터뷰에서 “지난 15년 동안 R&D에만 9,000억원을 투자했다”며 “신약 개발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갖고 인내심 있게 매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센터장은 한미약품 혁신의 ‘산실’인 연구센터를 총괄하고 있다.

관련기사



권 센터장은 이번 서울포럼 세션에서 다국적 제약사와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성과를 거둔 한미약품의 비결을 소개할 예정이다. 지난해 수출한 신약 기술 ‘랩스커버리’는 약물의 전달체계를 변화시켜 약효의 지속시간을 늘려준다. 몸 안에 들어간 약의 효과가 줄어드는 반감기를 대폭 개선한 것으로 약의 전달 방식을 바꾸는 기술로 시야를 돌린 것이다. 권 센터장은 “‘차별화’를 중시하는 사내 문화가 한국형 R&D를 정립하는 바탕이 됐다”며 “남들과 다른 제품, 의료진 처방의 폭을 확대할 수 있는 신제품을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국내 제약업계, 나아가 바이오 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벤처와의 ‘개방형 생태계’ 조성이 중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생태계 조성은 바이오 분야뿐 아니라 최근 급물살을 타고 있는 산업 간 융·복합에서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권 센터장은 “(생태계 조성은) 신약 개발 가능성은 높이고 실패의 위험은 줄이는 합리적인 전략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권 센터장은 아직 미진한 단계인 국내 신약 개발의 확산을 위해서는 ‘의약품은 공공재’라는 인식에서 한발 더 나아가야 한다며 기업들이 스스로 도전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의약품은 경제적 가치 창출이 충분히 가능한 분야이지만 지금까지 공공재, 또는 복지의 관점에서 다뤄졌다”며 “가령 글로벌 임상에 소요되는 의약품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도 R&D의 연장선이므로 이에 대한 세제혜택을 주면 기업이 적극적으로 신약 개발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