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명예졸업 시켜 준다던 세월호 희생 단원고 학생 246명 제적 처리, 유가족 해명 요구

명예졸업 시켜 준다던 세월호 희생 단원고 학생 246명 제적 처리, 유가족 해명 요구명예졸업 시켜 준다던 세월호 희생 단원고 학생 246명 제적 처리, 유가족 해명 요구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안산 단원고등학교 학생 전원이 제적 처리된 것으로 확인돼 유가족들이 해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99일 세월호 희생학생 유가족들에 따르면 단원고는 지난 1월 21일 ‘세월호 참사 희생(실종) 학생 학적처리 협조 요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을 경기도교육청에 보냈다.

공문에는 “2016년 개학 이전에 세월호 참사로 희생(실종)된 학생들의 학적을 제적처리 하고자 함”이라는 내용과 함께 “관련 법령을 검토, 학적 처리 지침을 빠른 시일 내에 시달해달라”는 요청이 담겼다.

단원고는 학적처리 지침 사유에 대해 “세월호 참사 당시의 생존학생과 재학생 86명의 졸업처리를 진행하려고 하는데, 희생학생들의 학적이 존재해 졸업처리에 어려움이 있다”며 “2016학년도 신입생 입학 및 재학생 진급으로 학적을 현상태로 유지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나흘 뒤 경기도교육청은 회신 공문으로 “학적처리(학년과정의 수료 또는 졸업 인정) 권한은 학교장에게 있다”며 “학생이 사망했을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공적인 서류를 받아 내부결재를 통해 제적처리 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후 세월호 희생학생 246명은 전원 제적 처리된 것으로 확인됐다. 실종학생 4명은 유급 처리됐다.

관련기사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세월호 희생학생 유족들은 단원고를 방문해 해명을 요구하고 있다. 일부 유가족은 실신해 인근 병원으로 옮겨진 것으로 알려졌다.

한 유족은 “명예졸업을 시켜준다고 하더니 유족들 몰래 희생학생들을 지워낸 단원고의 행태에 분노할 수밖에 없다”며 “단원고는 자식잃은 부모의 가슴에 또다시 대못을 박았다”며 울분을 토했다.

지난 1월 단원고는 희생 학생들의 명예 졸업을 제안했지만 유가족 측은 “아직 미수습자가 있는 상황에서 희생 학생들만 먼저 졸업시킬 수 없다”며 거절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생활기록부 제적 처리가 유가족과의 사전 협의 과정 없이 진행된 점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유가족에게 정중히 사과한다”며 “앞으로 학교 측과 긴밀히 협의해 원만히 처리해 나가겠다”고 공식입장을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