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CES 아시아' 주연 꿰찬 스마트카·드론

375개 기업 참가 상하이서 개막

TV 등 가전 전시 비중 크게 줄고

IT 융합車·나노 드론 등 주목 받아

CES 아시아 로고CES 아시아 로고




‘CES 아시아 2016’에서 BMW 테스트 드라이브를 위해 주차돼 있는 전기차들.‘CES 아시아 2016’에서 BMW 테스트 드라이브를 위해 주차돼 있는 전기차들.


‘CES 아시아 2016’에서 BMW 테스트 드라이브를 위해 주차돼 있는  전기차들.‘CES 아시아 2016’에서 BMW 테스트 드라이브를 위해 주차돼 있는 전기차들.


올해 중국 상하이에서 두 번째로 열린 ‘국제가전박람회(CES) 아시아 2016’은 커지는 중국 시장과 함께 판을 키웠다. 지난해보다 참여기업이 늘고 공간도 두 배로 넓어진 이번 전시에서는 특히 TV 등 가전 비중이 크게 줄고 스마트카·드론 등이 부상했다.

11일~13일 중국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SNIEC) 일대에서 개최되는 ‘CES 아시아 2016’에는 알리바바·BMW·화웨이 등 23개국에서 375개 기업이 참여해 성황을 이뤘다. 전시장은 지난해 2개관에서 올해 4개관으로 늘었으며 면적도 총 3만2,000㎡(실면적 1만 6,000㎡)로 확대됐다. 개최 기간 동안 관람객 3만여명이 몰릴 것으로 전망된다.


게리 샤피로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소비자 시장으로 글로벌 소비자 기술 생태계를 구축하는 중”이라며 “아직은 미국이 더 큰 소비자 기술 시장이지만 곧 중국이 이를 뛰어넘을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삼성과 LG가 불참한 이번 ‘CES 아시아 2016’에서는 가전제품보다는 스마트카와 드론 등 신기술 적용 제품들이 눈에 띄었다. 4개관 중 하나가 자동차를 위한 전시장으로 꾸며져 BMW 등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이 전기차·자율주행차 등 정보기술(IT)과 융합한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다. 특히 BMW는 이번 CES 아시아에서 최초로 쇼룸에서 벗어나 전기차로 실제 거리를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테스트 드라이브 기회를 제공하기도 했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콘셉트카인 지능형 공기역학 자동차(IAA)와 중국 럭셔리 시장을 겨냥해 내놓은 ‘더 뉴 E클래스L’도 다시 한 번 선보였다.

나날이 커지는 드론 시장에도 관심이 집중됐다. 전시장 내 설치된 드론 데모 공간에서는 30분마다 새로운 드론 시연이 진행됐다. 샤피로 회장은 이번 ‘CES 아시아 2016’에서 주목할 만한 것으로 인텔이 선보이는 다양한 드론을 지목하기도 했다. 또한 미국 실리콘밸리에 본사를 둔 모타(MOTA)는 세상에서 가장 작고 가벼운, 손바닥에 들어가는 ‘제트자트’ 나노 드론을 선보이기도 했다.

스타트업들도 대거 혁신적인 제품을 내놓아 눈길을 사로잡았다. 스타트업 전용 공간 ‘스타트업 파크’에는 프랑스·싱가포르·미국 등 각국에서 온 64개 벤처기업이 아시아 판로 확대를 위해 마케팅을 펼친다. 설립한 지 5년 된 한국 헬스케어 스타트업 ‘프라센’은 사용자의 깊은 잠을 유도하고 맞춤형 수면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품을 선보이기 위해 부스를 마련했다. 프라센의 정석연 이사는 “CES 아시아 같은 행사를 통해 다양한 투자자들을 만나 판로를 확대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여기서 출시 전 아시아인들의 반응을 미리 볼 수 있어 좋은 점이 많다”고 전했다. /상하이=김현진기자 stari@sedaily.com

김현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