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는 박근혜 대통령의 오는 25일~6월1일(현지시간) 에티오피아·우간다·케냐 순방을 계기로 대아프리카 북핵 외교를 강화할 방침이다. 아프리카의 상당수 국가가 북한과 외교관계를 수립한 상황에서 박 대통령의 이 지역 방문은 국제사회에서의 북한의 고립을 부각시키며 북한에 대한 상당한 압박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이번에 방문하는 아프리카 3개국 역시 북한과 수교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특히 우간다의 경우 북한과 군사 분야에서 오랜 기간 긴밀한 유대관계를 유지하는 등 북한의 중요한 아프리카 우방국 중 하나다. 지난 1986년 집권한 요웨리 무세베니 현 우간다 대통령은 김일성 주석 생전에 세 차례 북한을 방문할 정도로 김 주석과 친교가 두터웠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티오피아 역시 1976년 6월 북한과 외교관계를 수립해 북한이 주에티오피아 북한 대사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케냐는 1975년 북한과 수교합의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2008년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 정상이 아프리카를 방문하고 해당국이 환대하는 것 자체가 북한에 대한 압박이 될 것”이라면서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아프리카에) 가보지도 못하지 않았느냐”고 지적했다.
박 대통령은 아프리카 3개국 정상들과의 잇따른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통일에 대한 지지와 함께 3월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2270호를 착실히 이행해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올 들어 제4차 핵실험을 감행한 데 이어 장거리 미사일 등 각종 탄도미사일을 잇따라 발사하며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를 받고 있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북한과의 관계를 의식해 직접적이고 높은 수위로 북한을 규탄하지는 않겠지만 간접적이고 우회적인 방식으로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한 지지를 표명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13일 ‘2016 아프리카데이’ 비즈니스 네트워킹 오찬 축사에서 “아프리카는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270호의 이행 등 대북 국제공조에서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갖는 지역”이라면서 “통일 과정에서도 아프리카 국가들의 이해와 지지는 유용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북한의 전통적인 우방이었던 아프리카 국가들 사이에서도 조금씩 대북 경사에서 벗어나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북한이 2015년 국제김일성상 수상자로 우간다의 무세베니 대통령을 선정하고 시상을 추진했으나 우간다 측은 수상을 거부했다. 에티오피아는 2002년 주북한 대사관을 폐쇄하고 최근 10여년간 고위인사의 방북을 중단하는 등 북한과 명목상의 외교관계만을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