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체세포 배아복제 연구 7년만에 재개

정부, 차병원 조건부 승인...종교계 반대 등 논란예고

정부가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 연구를 조건부 승인함에 따라 국내에서 한동안 중단됐던 관련 연구가 7년 만에 재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이 연구를 투명하게 관리할 제도적 장치가 아직 마련돼 있지 않은데다 종교계 등도 반대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대통령 소속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최근 ‘2016년 제1차 본회의’를 열고 차병원 줄기세포연구팀이 제출한 체세포 복제 배아 연구 계획을 심의, 조건부 의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환자의 체세포를 이용해 체세포 복제 배반포를 생산하고 배아 줄기세포를 확립해 다양한 조직 적합성 항원을 가진 배아 줄기세포를 생산하겠다고 제시했다. 난자는 600개를 사용할 계획이다. 이 연구는 시신경 손상과 뇌졸중 같은 난치병 환자의 치료에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기사



위원회가 이 계획을 승인하면서 내건 조건은 난자와 체세포를 얻는 과정에서 법률을 지키고 인간 복제에 잘못 이용될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 체계를 갖추라는 것이다. 문제는 법망이 촘촘하지 않은데다 연구 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할 제도적 장치도 없다는 데 있다. 현행법상 연구 목적으로 사용하는 난자는 불임 치료 의료기관을 찾은 여성에게서 채취된 난자 중 쓰고 남은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갑’의 위치에 있는 의사의 요구를 환자가 쉽사리 거절하기 힘든 게 현실이다. 과배란 주사를 투입해 몇 개의 난자를 채취해 가는지도 환자의 입장에서는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게다가 서로 독립돼 각각의 윤리를 지켜야 할 난자 채취 의료기관과 연구기관이 같은 재단의 기관이라는 점도 문제다. 지난 수년간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 연구가 없다 보니 현재 정부 내외에 이를 모니터링할 기구도 아직 갖춰져 있지 않은 상황이다.

종교계의 반대 또한 체세포 복제 줄기세포 연구가 넘어야 할 산이다. 보건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위원회의 조건 충족 여부를 살펴본 뒤 다음달 중 최종 승인 여부를 확정할 것”이라며 “현재 연구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듣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임지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